AI혁신클러스터 2조3000억 투자, 세계 최고 연구기관 참여

[경기=환경일보] 김성택 기자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하남 교산 신도시를 대한민국 대표 AI 산업 거점으로 육성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밝혔다.
김 지사는 21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지속가능 미래도시와 국가 AI 경쟁력 강화’ 토론회에서 “AI는 단순한 산업 도구를 넘어 국가 패러다임 전환의 핵심 전략 자산”이라며 “경기도는 하남 교산 신도시를 대한민국 대표 AI시티로 만들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AI 기술을 도시 전반에 접목해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산업·연구·일자리가 연결되는 새로운 도시 모델을 실현하겠다”며 하남교산 공공주택지구 내 추진 중인 AI혁신클러스터를 소개했다. 해당 클러스터에는 데이터센터, 연구시설, AI트레이닝센터 등이 집적돼 도시 전체가 넷제로(Net-zero) 설계로 운영될 예정이다.
하남교산 AI혁신클러스터는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총 2조3000억 원(토지비 제외)을 투입해 7만1000㎡ 부지에 36만4000㎡ 규모(10개 동)로 조성된다. 사업은 포스텍케이티 컨소시엄이 맡아 추진하며, 포스텍·카네기멜론대·싱가포르국립대 등 세계적 연구기관과 KT클라우드, KT투자운용이 참여한다.

경기도는 유치를 위해 국토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해 ‘택지개발 업무처리지침’을 개정시켰고, 지난달 전국 최초로 ‘공공주택지구 기업유치 활성화 조례’를 제정했다. 이에 따라 기업·교육시설 유치가 가능해지면서 클러스터 조성에 속도가 붙었다.
향후 투자제안서 접수와 심의를 거쳐 오는 9~10월 입주 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며, 최종적으로 국내 AI 산업 생태계를 견인하는 거점으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한편 이날 토론회는 추미애 국회의원실과 한국토지주택공사가 공동 주최했으며, 도시계획과 AI 전문가들이 참석해 글로벌 AI 경쟁 시대의 대응 방안, 한국형 AI시티 정책 방향, 지속가능한 신도시 혁신 과제를 논의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