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아·태환경장관회의 참석해 유엔환경총회 결의안 초안 소개 예정

[환경일보] 환경부(장관 김성환)는 8월 26일부터 29일까지 남태평양 피지의 나디에서 열리는 ‘제6차 아시아·태평양 환경장관회의(이하 아·태환경장관회의)’에 정은해 환경부 국제협력관이 수석대표로 참석해 지역 환경현안 해결을 위한 국제협력 방안을 논의한다고 밝혔다.
아·태환경장관회의는 유엔환경총회(UNEA)의 지역별 사전회의로, 아시아·태평양 41개국의 고위 관계자들이 모여 차기 유엔환경총회 의제를 사전 점검하고 아·태지역의 정책 우선순위를 조율한다. 이 회의는 2년마다 개최되며, 제6차 회의는 오는 12월 케냐 나이로비에서 열릴 제7차 유엔환경총회 준비를 위한 자리다.
특히 이번 회의는 아·태지역 군소도서국(SIDS) 중 최초로 피지가 개최국으로 나선 회의로, 기후위기로 인한 해수면 상승, 산호 생태계 훼손 등에 대한 국제사회 협력을 촉구할 것으로 기대된다. 피지는 제23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를 개최하는 등 기후위기 대응에 선도적 역할을 해왔다.
정은해 국제협력관은 이번 회의에서 기후위기, 생물다양성 손실, 오염의 지구라는 3대 위기 극복을 위한 순환경제 전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올해 제주에서 열린 세계 환경의 날 기념행사에서 발표된 순환경제 실천 행동구상을 바탕으로 한 국제환경협력 결의안 초안을 소개할 계획이다.
결의안 초안은 ▷국가별 맞춤형 폐기물 오염 해결을 위한 정밀 진단 필요성 확인 ▷국제기구·전문가·시민사회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합동조사반 구성 ▷순환경제 실현을 위한 실효적 국제협력 강화 등으로 구성됐다. 이는 UNEA-7에서의 채택을 목표로 한다.
정 국제협력관은 회의 기간 중 환경부와 국제기구 공동 주최 부대행사에 참석해 개회사 및 축사를 통해 전기차 폐배터리 순환경제 실현과 대기질 개선을 위한 국제협력 필요성을 강조할 예정이다.
그는 “아·태지역은 전 세계 인구의 60%를 차지하는 지역으로, 차기 유엔환경총회의 논의 방향을 좌우하는 중요한 환경 거버넌스 중심지”라며 “한국은 그간의 경험과 역량을 바탕으로 아·태지역 순환경제 촉진을 위한 핵심 협력 매개체로 적극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