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구·경북 등 예산 지원형 지자체 선정

도심항공교통 서울, 경기, 인천 지역 지도 /자료제공=국토교통부
도심항공교통 서울, 경기, 인천 지역 지도 /자료제공=국토교통부

[환경일보]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 서비스 실현을 위한 지역 맞춤형 지원이 본격화된다. 국토교통부는 8월 26일 각 지자체의 특성과 준비 현황에 따라 예산 지원, 연구개발(R&D) 및 실증 연계, 전문 컨설팅 등으로 구분한 맞춤형 지원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지원계획은 지난 4월 공모한 '2025년 도심항공교통 지역시범사업'에 응모한 지자체들을 대상으로 서면 평가, 현장 실사, 발표 평가 등을 거쳐 설정됐다. 국토부는 지자체별 사업계획의 구체성과 실현 가능성 등을 토대로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지원을 시작한다.

첫째, 사업화 실현 가능성이 높고 계획이 구체적인 지역은 '예산 지원형'으로 분류됐다. 제주도는 제주공항과 주요 관광지를 잇는 관광노선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계획을 제시해 버티포트 설계 예산을 지원받는다. 대구·경북은 산불감시와 고속도로 사고모니터링 등 공공 목적의 운항을 계획하고 있으며, 도로공사와 경찰청 등 유관기관이 함께 참여해 국토부가 예산을 지원한다. 전남·경남은 문화체육관광부의 광역관광 개발계획에 따라 관광 기반 구축 예산을 확보하고, 국토부는 시범운용구역 지정 등 제도적 지원을 병행할 방침이다.

둘째, UAM 확장성 및 연구 환경이 우수한 지역은 'R&D 및 실증 연계형'으로 지원된다. 울산은 태화강과 울산역을 잇는 대체 교통망으로 UAM을 활용하는 계획을 세우고 있어 R&D 실증 지역으로 선정됐다. 서울·경기·인천 수도권은 인천·김포공항과 도심을 연결하는 공항셔틀 노선 계획을 바탕으로 도심지 실증 인프라를 설치해 기체 안전성과 운용성을 시험하고, 이를 시범사업과 연계한다. 실증은 2025년 아라뱃길(청라계양), 2026년 킨텍스대덕·수색비행장~김포공항 구간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셋째, 사업계획이 초기 단계에 있는 지자체에는 '전문컨설팅 지원형'으로 지원한다. 부산은 부산역과 해운대를 잇는 교통·관광 통합형 노선을 구상 중이며, 대형 선박 및 교량 등 주변 장애물과 개발 규제 사항을 고려한 제도·기술 컨설팅을 받는다. 충북은 산불 등 재난 상황 대응을 위한 헬기 운용을 UAM으로 대체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국토부는 버티포트 입지 구체화와 충청권 초광역 연계 방향에 대해 컨설팅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전북, 강원, 충남 등 이번 공모에 미신청한 지자체에 대해서도 거점역 중심의 버티포트 구축 계획이 구체화될 수 있도록 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교통안전공단 등 산하 전문기관과 연계해 컨설팅을 확대할 예정이다.

김홍목 국토교통부 모빌리지자동차국장은 "지역 실정에 맞는 실질적 지원을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K-UAM 서비스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