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 공공조달, 기술력 기반 대출, 인건비 지원, 중복지원 재검토 지시

김동연 지사가 ‘청년 창업자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
김동연 지사가 ‘청년 창업자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

[경기=환경일보] 김성택 기자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양주·남양주 민생투어에서 청년 창업자들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네 가지 특별한 지시를 내렸다. 김 지사는 “공무원들이 소관과 책임을 따지며 소극적으로 대응해서는 안 된다”며 “손에 물 묻히는 일처럼 직접 해결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양주 청년센터에서 열린 ‘청년 창업자 간담회’에서 온라인 판매, 자동차 테크 상품, 주방가구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의 청년 창업기업 대표 12명과 만나 현실적인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참석자들은 매출 실적이 없어 대출이 어렵다, 청년센터 인프라 부족, 인건비 지원 절실, 육아 부담, 통신비·전기세 등 초기 운영비 지원 필요성, 공공기관 입찰 기회 확대 등을 건의했다.

도청과 산하기관 간부들이 보증제도나 지원사업을 안내했지만, 김 지사는 “이쪽 일이 아니라고 떠넘기는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다”며 답답함을 드러냈다. 이어 “현장의 어려움에 실질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라”며 간부들에게 네 가지를 구체적으로 지시했다.

첫째, 벤처기업 제품의 공공조달 방안을 강구할 것, 둘째, 매출 실적이 없어도 기술력이나 성장 잠재력으로 대출이 가능하도록 검토할 것, 셋째, 신규 채용 시 인건비 지원 방안을 마련할 것, 넷째, 중앙부처 지원을 받으면 경기도 지원을 중복으로 받을 수 없는 현 제도를 재검토할 것을 주문했다.

김 지사는 “벤처기업의 판로 개척은 공공부문이 먼저 나서지 않으면 어렵다”며 “네 가지 사안은 빠른 시간 안에 가시적인 변화를 가져와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청년 창업자 간담회’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 
‘청년 창업자 간담회’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 

이날 간담회에서 건의된 지원액 상한 조정, 예비사회적기업 지원 확대, 육아 문제 해결 등 현안에 대해서도 김 지사는 일일이 답변하며 도와 중앙부처 차원의 협의를 지시했다. 김 지사는 “청년 창업자의 목소리를 듣고 답을 주는 창구가 지속적으로 마련돼야 한다”며 “형식적인 간담회가 아니라 실질적 대안을 만드는 자리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