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 공공조달, 기술력 기반 대출, 인건비 지원, 중복지원 재검토 지시

[경기=환경일보] 김성택 기자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양주·남양주 민생투어에서 청년 창업자들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네 가지 특별한 지시를 내렸다. 김 지사는 “공무원들이 소관과 책임을 따지며 소극적으로 대응해서는 안 된다”며 “손에 물 묻히는 일처럼 직접 해결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양주 청년센터에서 열린 ‘청년 창업자 간담회’에서 온라인 판매, 자동차 테크 상품, 주방가구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의 청년 창업기업 대표 12명과 만나 현실적인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참석자들은 매출 실적이 없어 대출이 어렵다, 청년센터 인프라 부족, 인건비 지원 절실, 육아 부담, 통신비·전기세 등 초기 운영비 지원 필요성, 공공기관 입찰 기회 확대 등을 건의했다.
도청과 산하기관 간부들이 보증제도나 지원사업을 안내했지만, 김 지사는 “이쪽 일이 아니라고 떠넘기는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다”며 답답함을 드러냈다. 이어 “현장의 어려움에 실질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라”며 간부들에게 네 가지를 구체적으로 지시했다.
첫째, 벤처기업 제품의 공공조달 방안을 강구할 것, 둘째, 매출 실적이 없어도 기술력이나 성장 잠재력으로 대출이 가능하도록 검토할 것, 셋째, 신규 채용 시 인건비 지원 방안을 마련할 것, 넷째, 중앙부처 지원을 받으면 경기도 지원을 중복으로 받을 수 없는 현 제도를 재검토할 것을 주문했다.
김 지사는 “벤처기업의 판로 개척은 공공부문이 먼저 나서지 않으면 어렵다”며 “네 가지 사안은 빠른 시간 안에 가시적인 변화를 가져와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건의된 지원액 상한 조정, 예비사회적기업 지원 확대, 육아 문제 해결 등 현안에 대해서도 김 지사는 일일이 답변하며 도와 중앙부처 차원의 협의를 지시했다. 김 지사는 “청년 창업자의 목소리를 듣고 답을 주는 창구가 지속적으로 마련돼야 한다”며 “형식적인 간담회가 아니라 실질적 대안을 만드는 자리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