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형 입찰은 전량 미선정··· 하반기 제도개선 예고

[환경일보] 정부가 올해 처음 도입한 해상풍력 공공주도형 입찰시장에 689MW 규모의 고정식 해상풍력 프로젝트가 선정됐다. 일반형 입찰은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전량 미선정되며, 제도개선을 예고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김정관, 이하 산업부)는 2025년 상반기 해상풍력 경쟁입찰 결과를 한국에너지공단이 지난 1일 확정하고, 해당 입찰 사업자에게 개별 통보했다고 밝혔다.
이번 입찰은 해상풍력 보급 확대와 산업경쟁력 강화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정부의 첫 시도로, 지난해 8월 발표한 ‘해상풍력 경쟁입찰 로드맵’과 올해 3월 발표된 ‘공공주도형 해상풍력 입찰 추진방안’에 따라 안보 및 공급망 평가 항목이 대폭 강화된 것이 특징이다.
고정식 해상풍력 공공주도형 입찰은 올해 신설된 제도로, 500MW 내외의 용량이 공고됐으나 4개소 총 689MW가 입찰에 참여해 전량 선정됐다. 공고문에 따라 최대 150%까지 선정이 가능한 조건에 따라 모두 낙찰된 것이다.
반면, 일반형 해상풍력 입찰은 750MW 내외로 공고됐으며, 844MW 규모의 2개소가 참여했지만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전량 미선정됐다. 정부는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경쟁입찰 제도를 재정비할 방침이다.
산업부는 “새정부의 국정과제인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대전환 추진의 일환으로 풍력은 핵심 이행 분야”라며, “이번 공공주도형 입찰 결과를 토대로 향후 해상풍력 보급 가속화 전략과 차기 입찰 로드맵 등을 차질 없이 준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미선정된 용량에 대해서는 향후 수요와 시장 여건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하반기와 내년 이후에도 경쟁입찰을 지속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하반기 입찰은 풍력사업자 및 이해관계자 의견을 수렴해 제도개선을 거친 후 시행된다.
경쟁입찰 관련 상세 결과는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