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기반 리빙랩 운영 통해 지역 맞춤형 대응책 마련 나선다

[환경일보] 한국환경연구원(KEI) 신기후체제 대응 환경 기술개발 연구단(연구책임자 채여라)과 광주광역시 광산구청(구청장 박병규)이 9월 2일 광산구청에서 ‘시민 참여형 기후적응 정책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시민들의 생활 속 체감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정책 마련을 목표로 추진됐다.
이번 협력은 한국환경연구원이 주관하는 ‘시민참여형 기후 적응 최적화를 위한 정책평가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오는 2028년 12월까지 이어질 예정이며, 시민·사회·경제·환경 데이터를 종합 분석하여 정책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핵심이다.
최근 폭염과 한파의 강도와 빈도가 증가하면서, 냉·난방에 취약한 사회적 약자들이 더 큰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 이에 연구단과 광산구는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리빙랩(Living Lab)’을 운영해 생체 및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고 과학적 분석을 통해 정책 개발에 반영할 계획이다.
올해는 광산구 월곡동 고려인 마을 해설사들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을 시작한다. 참여자들은 스마트워치 등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체온, 심박수, 혈압 등 생체 데이터와 함께 기온, 습도 등 환경 데이터를 측정한다.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제 생활에서 체감하는 폭염과 한파의 영향을 분석해, 향후 정책으로 연계한다.
양 기관은 ▷체감 영향 분석 참여자 모집 ▷리빙랩 공동 운영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결과 공유 ▷장비 및 인프라 공동 활용 등에서 협력할 예정이다.
분석 결과에 따라 다세대 주택 등 취약 지역에 냉·난방 지원을 강화하거나,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이동형 폭염 쉼터 확대 등의 맞춤형 대책이 추진될 계획이다.
이날 협약식에는 박병규 광산구청장, 김성진 KEI 탄소중립연구실장, 채여라 선임연구위원, 정진산 고려인마을 해설사 회장 등 총 11명이 참석했다.
박병규 구청장은 “주민이 직접 참여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기후정책은 안전과 건강을 지키는 핵심”이라며 “광산구가 기후위기 대응 선도 도시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
채여라 선임연구위원은 “이번 협약은 시민 참여와 과학적 분석을 접목한 새로운 기후정책 모델”이라며 “실생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김성진 실장은 “폭염과 한파는 특히 사회적 약자에게 치명적”이라며, “KEI는 지자체와 협력해 시민 중심의 맞춤형 기후정책을 개발하겠다”고 강조했다.
리빙랩 시범운영을 통해 폭염 대응 정책은 올해 11월까지 분석을 마친 뒤 정책에 반영되며, 12월부터는 한파 대응 리빙랩으로 확대 운영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