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숲에서 만난 도시 속 습지, ‘서울숲 습지생태원’

환경부와 에코나우는 생물자원 보전 인식제고를 위한 홍보를 실시함으로써 ‘생물다양성 및 생물자원 보전’에 대한 대국민 인지도를 향상시키고 정책 추진의 효율성을 위해 ‘생물다양성 녹색기자단’을 운영하고 있다. 고등학생 및 대학생을 대상으로 선발된 ‘생물다양성 녹색기자단’이 직접 기사를 작성해 매월 선정된 기사를 게재한다. <편집자 주>

[녹색기자단 = 환경일보] 이주예 학생기자 = 도심의 빌딩 숲 사이, 서울숲은 단순한 공원이 아니다. 도심 한복판에서도 다양한 생물이 살아가는 서식지이자, 시민들이 자연과 함께 호흡할 수 있는 공간이다.

서울숲은 한강과 중랑천이 만나고 한강-용산-남산-청계천-서울숲-한강으로 연결되는 서울 도심을 가로지르는 녹지 축의 하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숲은 자연과 함께 숨 쉬는 생명의 숲, 시민들이 함께 만든 참여의 숲, 숲과 문화가 어우러지는 서울의 대표적인 녹색 쉼터가 되었다.

서울숲 습지생태원의 모습 / 사진=이주예 학생기자
서울숲 습지생태원의 모습 / 사진=이주예 학생기자

서울숲의 탄생

서울숲이 있던 자리는 원래 골프장과 승마장이 들어선 레저 단지였다. 그러나 자연환경 파괴 문제와 도시 생태 공간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서울시는 약 15만 평 규모의 시설을 철거하고 도심 속 생태와 문화를 함께 즐길 수 있는 테마숲을 조성했다.

특히 지금의 습지생태원은 처음부터 서울숲의 일부가 아니었다. 본래는 빗물 처리장으로 사용하던 작은 호수였으나, 서울숲이 만들어지면서 주변 숲에서 스며든 수분으로 자연스럽게 습지가 형성되었다. 이후 서울시가 이 공간을 서울숲에 편입시키며 지금의 자연 습지로 거듭나게 되었다.

이렇게 서울숲은 시민들과 기업들의 참여 아래 생태공원으로 탈바꿈하며 도심 속 자연으로 다시 태어나게 되었고, 시민들이 생물 다양성을 가까이서 경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지

서울숲은 문화예술공원, 생태숲, 체험학습원, 습지생태원 이렇게 총 4개의 주요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다양한 서식지는 각기 다른 생물들의 서식지로 기능하며, 도심 속에서도 다양한 생물들을 관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서울숲 습지생태원은 철새, 수생식물, 양서류, 파충류, 곤충, 어류 등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는 공간이다. 공원 외곽에 위치하여 한적하고 조용해 철새와 습지 생태계가 잘 유지되고 있다. 이곳에서는 청둥오리, 흰뺨검둥오리, 원앙 같은 조류뿐 아니라, 수련과 꽃창포 같은 습지식물과 나무수국, 억새, 덩굴류 등 다양한 식물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서울숲 습지생태원 한편에는 논습지가 조성되어 있는데 코로나 이전에는 모내기와 추수 프로그램이 열려 많은 시민이 직접 벼농사를 경험하기도 했다. 습지는 철새가 오가는 곳이라 새들을 많이 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서울 도심에서 보기 힘들었던 제비가 다시 발견되며 제비가 둥지를 짓는 데 필요한 지푸라기와 진흙을 제공하고, 먹이가 되는 벌레와 마실 물이 유지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환경을 조성한 것이다. 논습지를 비롯한 습지생태원은 제비와 참새, 멧비둘기 같은 새에게 쉼터이자 먹이터이다. 습지생태원의 조류 관찰대에서는 괭이갈매기, 왜가리, 중대백로, 붉은머리오목눈이 등도 관찰된다고 한다. 습지는 도심 속 먹이와 서식지가 부족한 새들에게 보금자리를 제공해주는 소중한 존재이며 생물 다양성 회복에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서울숲 습지생태원의 조류관찰대 / 사진=이주예 학생기자
서울숲 습지생태원의 조류관찰대 / 사진=이주예 학생기자

자연에 맡기는 관리, 자연스러운 아름다움

서울숲 습지생태원은 다른 공원과 달리 인위적 관리가 최소화된 공간이다. 습지에서는 화학적 방제, 비료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개입하기보다는 물리적 방제나 자연의 힘에 의존해 생태계를 유지한다. 방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 곳은 역설적이게도 관리하지 않는 것이 관리인 공간이다. 쓰레기 수거와 생태계 교란종 제거처럼 최소한의 개입만 하며, 생물들이 스스로 균형을 이루도록 돕는다. 이러한 방식은 도심 속에서도 자연스러운 생태 주기를 관찰할 수 있게 하고, 다양한 식물들이 피고 지면서 더 아름다워지는 지속 가능한 정원이 된다.

도심 생태계의 의미

도시 한가운데 자리 잡은 서울숲의 습지는 단순한 생물들의 서식지가 아니다. 습지는 강수량에 따라 달라지는 강과 하천의 수위를 조절하며 비가 올 때 빗물을 머금고 서서히 방출해 도심 홍수를 완화한다. 또 정화의 기능이 있어 가정 및 산업 폐수를 거르는 역할을 하고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줄이는 역할까지 한다.

습지생태원에는 생태학습장, 환경 놀이터와 같은 부대시설도 마련되어 있다. 생태학습자에서는 수생식물과 수서곤충을 관찰할 수 있다. 환경놀이터와 유아숲 체험장과 같이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자연환경에 대한 친밀함과 과학적 탐구심을 기를 수 있는 공간도 운영된다. 사람들에게는 쉼터이자 자연과 가까이 교감할 기회를 제공해, 생물 다양성 보전의 중요성을 직접 느낄 수 있는 살아 있는 교육장으로 기능한다.

도심 속 생물 다양성의 살아 있는 증거

서울숲은 우리 곁에 머무는 작은 생명을 가장 잘 보여주는 도심 속 작은 지구이다. 서울숲은 과거 인공 레저 시설에서 생태공원으로 탈바꿈한 공간이자, 도심 속에서도 다양한 생물이 공존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도시 개발과 기후 위기 속에서도 서울숲은 생물 다양성 보전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살아 있는 증거이며, 앞으로도 도심 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상징적 공간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