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지사, 민생경제 현장투어서 마스터플랜 설명··· “통합돌봄시스템 도입”

경기북수원테크노밸리 현장설명회에서 발언하는 김동현 지사 /사진제공=경기도
경기북수원테크노밸리 현장설명회에서 발언하는 김동현 지사 /사진제공=경기도

[경기=환경일보] 김성택 기자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경기북수원 테크노밸리를 “AI가 열어가는 자족형 15분 도시”로 조성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김 지사는 12일 수원시 장안구 파장동 경기도인재개발원에서 열린 ‘경기북수원 테크노밸리 마스터플랜 현장설명회’에서 “이곳을 일터, 삶터, 쉼터가 함께하는 복합단지로 조성하고, 대한민국 최초로 통합돌봄시스템을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북수원 테크노밸리 조성사업은 경기주택도시공사가 시행하며, 2026년 착공해 2029년 말 준공할 계획이다. 전체 면적은 14만1000㎡, 사업비 규모는 2조8000억원이다. 도는 이곳을 일자리·주거·여가를 함께 누릴 수 있는 ‘경기 기회타운’으로 만들고, AI 기반 IT 기업과 반도체·모빌리티·바이오·헬스케어 연구소 등을 유치해 국내 최고의 AI 지식산업벨트를 구축할 방침이다.

사업지에는 기숙사 500호, 분양주택 1816호를 공급하고, 상업·문화·스포츠·여가·복지 공간을 마련한다. 특히 국내 최초로 방문의료, 재활치료, 단기입원, 주야간보호를 통합 운영하는 돌봄의료 원스톱 서비스가 도입된다. 또한 북수원역과 연계된 환승플랫폼을 구축하고, 제로에너지건축물과 RE100 탄소중립타운 개념을 적용해 친환경 도시로 조성할 계획이다.

김 지사는 “판교테크노밸리의 한계를 넘어 직주락이 결합된 공간에 통합돌봄까지 도입하겠다”며 “내년 착공을 목표로 계획대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경기북수원테크노밸리 현장설명회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
경기북수원테크노밸리 현장설명회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

이날 현장에는 김승원 국회의원, 도의원, 기업·의료 전문가, 지역 주민 등 60여 명이 참석했다. 김 지사는 이어 성균관대학교 반도체 관련 학과 학생들과 만나 미래 인재들과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