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생식물과 주변 나무, 일부 철거 콘크리트 폐기물 재활용

[환경일보] 김인성 기자 =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임영석)은 기후변화 대응과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버려진 땅에 새로운 가치와 의미를 부여하는 특별한 정원’을 조성했다.
이번에 조성된 정원은 과거 국립수목원 산림동물원 곰사육장으로 활용됐던 공간을 재해석해 ‘곰이 떠난자리, 숲의 정원’으로 바뀌었다. 곰의 시선에서 바라보고, 곰이 자유를 찾아 떠난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간에 숲의 주인(나무, 풀, 바위, 토양, 미생물 등)이 다시 찾아오는 서사적인 공간을 연출했다.
정원은 실내와 실외 공간으로 구분하며, 갤러리정원, 회복정원, 숲정원 등 다양한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자생식물과 주변의 돌, 나무, 일부 철거한 콘크리트 폐기물을 재활용해 정원을 만들었다.
또한 광복 80주년을 기념 ‘자유와 회복’ 주제의 전시도 진행하고 있으며, 100여년 전 한반도의 풍경과 식물을 사진과 영상을 통해 관람할 수 있다.

임영석 국립수목원장은 “아름다움, 기후변화 대응, 생물다양성을 갖춘 정원의 조성만이 아니라, 이번에 곰사육장을 정원으로 조성한 것처럼 버려진 공간도 정원이 될 수 있다”며, “국립수목원은 앞으로도 다양한 모델정원 연구를 추진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곰이 떠난자리, 숲의 정원’은 국립수목원 산책로 구간에 있으며 수목원 개방 시간 동안 관람이 가능하다.
김인성 기자
blue0318@hkb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