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1인당 구매액 4년 연속 1위··· 서울·경기 실적 대비 저조

[환경일보] 공공부문의 녹색제품 구매액이 제도 시행 18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위기 대응과 녹색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의 조달 정책이 위축됐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26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제주 서귀포시)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공공부문 녹색제품 구매액은 4조5755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도(4조7606억원)보다 1851억원(3.9%) 감소한 수치로, 녹색제품 구매 제도 도입 이후 최대 감소폭이다.
녹색제품은 에너지·자원 사용을 절감하고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해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인증받은 제품이다. 공공기관은 관련 법령에 따라 매년 구매계획을 수립하고, 실적을 제출해야 한다.
광역자치단체와 산하 기초지자체의 2024년 구매 실적을 보면, 8개 시도에서 전년 대비 구매가 줄었다. 부산(-18.1%), 대전(-21.4%), 강원(-13.0%), 충북(-14.9%), 전북(-7.3%), 경남(-6.3%) 등이며, 제주는 2년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다. 특히 제주는 2021년 대비 실적이 감소한 유일한 지역으로 나타났다.
총 구매액 기준으로는 경기(4,495억 원), 서울(2,163억 원)이 1·2위를 기록했지만, 인구를 감안한 1인당 구매액 순위에서는 각각 12위와 15위로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반면, 전남은 2021년부터 4년 연속 1인당 녹색제품 구매액 1위를 유지했고, 부산은 최하위인 17위를 기록했다.
위성곤 의원은 “녹색제품 구매는 기후위기 대응의 실질적 수단이며, 공공부문이 앞장서야 민간의 녹색소비와 기술혁신도 따라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기후테크와 녹색산업에 대한 과감한 공공조달 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