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water, '지속가능한 물관리로 아세안과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발전하겠다'

[환경일보] 한국수자원공사(K-water, 사장 윤석대)는 지난 26일 서울 삼청각에서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 태국 등 메콩 5개국 주한대사들과 간담회를 열고, 기후위기에 대응한 지속 가능한 물관리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외교부, 환경부와 공동으로 마련됐으며, 그간의 협력 성과를 점검하고 향후 협력 확대 방안을 구체화하기 위한 자리였다.
메콩강 유역은 약 2억5000만 명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주요 취수원으로, 기후변화와 산업화로 인해 가뭄, 홍수, 수질오염 등 복합적인 물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앞서 8월 한-베트남 정상회담 공동성명에서도 메콩강 유역의 물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 의지가 확인된 바 있으며, 이번 간담회는 이를 구체적 논의로 발전시킨 사례다.
한국수자원공사는 2021년 ‘한-메콩 물관리센터(KOMEC)’를 설립한 이후, 메콩 지역과의 물 협력을 위한 기반을 다져왔다. KOMEC은 2019년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에서 채택된 ‘한강-메콩강 선언문’을 토대로 설립됐으며, 이후 실무자 초청 연수, 기술 교류, 홍수 예·경보 시스템 도입 등 16건의 협력사업을 통해 관계를 공고히 해왔다.
특히 지난해 5월에는 환경부, 메콩강위원회(MRC)와 인공지능(AI), 디지털트윈 기술을 접목한 협력사업에 관한 협약을 체결했고, 올해 3월 제3차 한-메콩 국제물포럼을 통해 세부 실행방안을 논의했다. 최근에는 MRC와 디지털트윈 기반의 통합물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실질적 논의도 진행 중이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메콩 5개국 대사들은 한국수자원공사의 초격차 물관리 기술 역량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특히 물관리 디지털트윈, AI 정수장, 스마트 관망관리(SWNM) 등 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혁신적 물관리 체계에 대해 깊은 공감을 나타냈다. 물관리 디지털트윈은 댐 상·하류를 가상공간에 복제해 의사결정을 지원하며, AI 정수장은 알고리즘 분석으로 자율 운영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SWNM은 사물인터넷(IoT) 등을 활용해 누수를 줄이고 관로를 안정화하는 기술이다.
간담회 이후에는 한국국제협력단(KOICA), 한-아세안센터, 민간기업 등이 참여한 실무급 회의가 이어졌으며, 민관 협력을 통한 구체적 협력 방안도 논의됐다.
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은 “메콩 지역은 아세안 경제 성장의 중심축이자 우리나라의 전략적 협력 동반자”라며 “이번 간담회를 계기로 물을 매개로 한 다자간 협력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물관리 협력 방안을 더욱 구체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