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서영 충청남도인생이모작지원센터장
[환경일보] The world today faces a “dual crisis.” On the one hand, governments are racing to curb global warming; on the other, biodiversity is collapsing at an alarming rate—species extinction is now occurring 100 to 1,000 times faster than natural background levels (UN CBD, 2022). The challenge is that climate action and nature protection often collide instead of reinforcing each other.
Expanding renewable energy is critical, yet side effects are undeniable. BirdLife International estimates that nearly 1.2 million birds die each year in Europe from collisions with wind turbines. Large-scale afforestation projects intended to generate carbon credits in Africa and South America have led to monoculture plantations, worsening soil degradation and reducing biodiversity.
The target—protecting 30% of the world’s land and seas by 2030—enjoys broad international support. Still,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warns that failure to meet this goal could result in the loss of ecosystem services valued at over $10 trillion. At the same time, expanding protected areas directly affects the livelihoods of fishing and farming communities, sparking resistance.
South Korea illustrates this tension vividly. According to the Korea Forest Service, more than 2,000 hectares of forests—seven times the size of Yeouido—have been cleared over the past decade for solar power installations. Offshore wind potential along the Yellow Sea is estimated at 16 GW, yet projects have been delayed by conflicts with tidal flats and migratory bird habitats. Balancing climate policy with nature protection is no longer optional; it is decisive.
There are solutions. The UN Environment Programme (UNEP) reports that nature-based solutions (NbS) could deliver 37% of the emissions reductions needed by 2030. Mangrove forests sequester up to five times more carbon than terrestrial forests of the same size. Wetlands can reduce flood damage by over 60%. Expanding urban green space by just 10% can lower summer city temperatures by an average of 2°C.
The data are clear: climate and biodiversity crises are inseparable. Climate policies that harm ecosystems are half measures at best. Only when climate action aligns with nature protection can we achieve genuine carbon neutrality.
[한글 번역]
기후 변화 대응과 자연보호, 함께 가야 할 길!
전 세계는 지금 ‘이중 위기’에 직면해 있다. 하나는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막기 위한 기후변화 대응이고, 다른 하나는 멸종 속도가 과거보다 100~1,000배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생물다양성 위기이다(유엔생물다양성협약, 2022). 문제는 기후 대응이 때때로 자연보호와 충돌한다는 점이다.
재생에너지 확대는 필수지만 부작용도 분명한데, 국제조류보호단체(BirdLife International)에 따르면 유럽에서만 매년 약 120만 마리의 새가 풍력 터빈에 부딪혀 죽고 있다. 대규모 조림사업도 해법이 되지 못한데, 아프리카와 남미에서는 탄소배출권 확보를 위한 단일수종 조림이 진행되면서 오히려 토양 황폐화와 생물다양성 감소가 보고되고 있다.
2030년까지 지구 육지와 해양의 3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하자는 국제 합의도 논란이 있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이 목표가 달성되지 않으면 생태계 서비스 가치 10조 달러 이상이 사라질 것이라 경고했다. 하지만 보호구역 확장은 어업·농업에 의존하는 지역 주민의 생계와 직접 충돌하고 있다.
한국의 현실도 다르지 않다. 산림청 자료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산지 태양광 설치로 훼손된 산림 면적은 2,000ha 이상인데, 이는 여의도의 7배에 달하는 규모이다. 서해안 해상풍력은 약 16GW의 잠재력이 있지만, 갯벌과 철새 보호 문제로 인허가 과정이 지연되고 있다. 결국 기후위기 대응과 자연보호의 조화를 찾는 것이 정책의 성패를 좌우할 열쇠가 될 것이다.
유엔환경계획(UNEP)은 자연 기반 해법(Nature-based Solutions)을 적용하면 2030년까지 필요한 탄소 감축의 약 37%를 달성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맹그로브 숲은 같은 면적의 육상 숲보다 최대 5배 많은 탄소를 흡수하며, 습지는 홍수 피해를 60% 이상 줄여준다. 도시 녹지를 10% 확대하면 여름철 도심 온도가 평균 2캜 낮아진다는 연구도 있다.
기후위기와 생태위기는 더 이상 따로 풀 수 없는 문제로 숫자와 데이터가 말해주듯이, 기후정책이 자연과 충돌한다면 이는 반쪽짜리 해법일 뿐이다. 기후와 자연을 함께 살리는 정책 전환이야말로 진정한 탄소중립으로 가는 길일 것이다.
염서영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 박사
충청남도인생이모작지원센터장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초빙교수
한국침례신학대학교 교양학부 겸임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