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전한 온라인 광고 생태계 조성··· 소비자 피해 최소화

[환경일보]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글로벌 온라인 플랫폼 운영사인 구글과 함께 온라인 사기성 광고 자율규제 협력에 나선다.
최근 AI로 생성한 유명인·전문가 사칭 광고를 비롯해 검증되지 않은 거짓·과장 광고가 온라인에서 빠르게 확산하며, 소비자 피해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과 구글은 사기성 광고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하고 건전한 온라인 광고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공식적인 협력을 추진한다.
먼저 소비자원은 전담 인력 및 국민참여 채널을 활용해 유튜브, 구글 플레이 등 구글이 운영하는 플랫폼에 게재된 광고를 상시 모니터링하고 부당광고로 의심되는 경우 구글에 바로 공유한다.
이어 구글은 해당 광고의 신속 차단을 위한 절차를 즉시 개시하고, 반복 위반하는 광고주에 대해서는 계정을 정지해 구글 플랫폼에 유통되지 않도록 조치하는 방식이다.
이번 협력은 한국소비자원이 부당광고의 실효성 있는 차단을 위해 지난 상반기 공정거래위원회, 특허청 등 정부 부처와의 업무협약에 이어 글로벌 플랫폼과도 직접적이고 신속한 공조 체계를 구축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또한 소비자원의 광고 모니터링 전문성과 구글의 AI 기술력이 결합해 사기성 광고를 더욱 빠르게 식별하고 차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한국소비자원은 “구글과의 협력으로 소비자 피해를 실시간으로 예방하고 온라인 광고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며 “소비자들이 사기성 광고로부터 더욱 두텁게 보호받고, 디지털 환경에서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