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고노동자에 회유성 일자리 제안··· 조직적 위장분사 가능성 제기

[환경일보] 강득구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안양만안)은 13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동자를 도구화한 이랜드에 끝까지 책임을 묻겠다”며 이랜드리테일의 불법파견 및 위장도급 의혹에 대한 철저한 진상 규명을 촉구했다. 이번 기자회견에는 이랜드에서 링크앤플랫폼으로 이직했다가 최근 해고된 노동자들도 함께했다.
최근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이랜드리테일은 자회사인 링크앤플랫폼을 설립한 뒤 해당 회사를 청산하는 방식으로 일부 영업직 노동자들을 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른바 ‘손쉬운 해고’를 위한 조직적 꼼수라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에 대해 이랜드 측은 “이랜드리테일 전 대표가 개인적 차원에서 회사를 창업했을 뿐”이라며, 이랜드 본사와 링크앤플랫폼은 무관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강 의원은 “이랜드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당시 대표는 배임죄에 해당하며, 회사 차원에서 아무런 조치 없이 지원했다면 이는 곧 조직적 위장분사임을 스스로 인정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링크앤플랫폼 설립 준비는 이랜드리테일 사내 건물에서 진행됐고, 이랜드가 해당 직원들의 업무에 직접 지시하는 등 실질적인 지휘·감독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차고 넘친다”고 강조했다.
더욱이 의혹이 제기되자, 이랜드 측은 “직원들이 이랜드에 더 이상 법률상·사실상의 이의제기를 하지 않고 협력한다면, 새로운 일자리를 주선하는 등 상생방안을 찾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문제 제기를 중단해야만 일자리 제공을 고려하겠다는 회유성 대응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강득구 의원은 “이랜드가 돈 몇 푼 아끼려 온갖 꼼수를 부려 결국 직원들의 생계를 무너뜨렸다”며 “이랜드를 믿고 이직한 직원들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이 마련될 때까지 끝까지 함께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