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공급 확대방안’ 관계기관 협의체 가동
특별법 제정·후보지 발굴 본격화

 국토교통부(장관 김윤덕)는 22일 ‘노후 공공청사 등 복합개발 추진체계’ 구축을 위한 관계기관 회의를 열고, 2030년까지 수도권에 2.8만호의 주택을 공급하기 위한 본격적인 실행에 나섰다. /사진=환경일보DB
국토교통부(장관 김윤덕)는 22일 ‘노후 공공청사 등 복합개발 추진체계’ 구축을 위한 관계기관 회의를 열고, 2030년까지 수도권에 2.8만호의 주택을 공급하기 위한 본격적인 실행에 나섰다. /사진=환경일보DB

[환경일보] 김인성 기자 = 국토교통부(장관 김윤덕)는 22일 ‘노후 공공청사 등 복합개발 추진체계’ 구축을 위한 관계기관 회의를 열고, 2030년까지 수도권에 2.8만호의 주택을 공급하기 위한 본격적인 실행에 나섰다. 이번 회의에는 국토부를 비롯해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등 관계부처와 수도권 지자체, LH·SH·GH·iH·캠코 등 공공주택 사업자가 참석했다.

이번 복합개발 사업은 지난 9월7일 발표된 새 정부의 ‘주택공급 확대방안’의 핵심 과제로, 준공 후 30년 이상 된 우체국, 주민센터 등 노후 공공청사를 재정비해 주택과 공공시설을 함께 조성하는 고밀 개발사업이다. 이를 통해 청년·신혼부부 등 직주근접이 필요한 계층에게 안정적인 공공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회의에서 복합개발 검토 의무화, 토지 활용 방식의 다양화, 거버넌스 구축 등을 포함한 특별법 제정 방향을 제시했다. 또한 지자체가 보유한 노후 청사와 유휴부지를 공유하고, 각 기관이 추진 중인 사업 현황과 향후 계획을 논의했다. 복합개발 추진 과정에서의 애로사항과 재정·행정 지원 방안도 함께 검토됐다.

김규철 국토교통부 주택토지실장은 “노후청사 복합개발은 도심 내 한정된 부지를 활용해 공공주택을 공급할 수 있는 효율적 수단”이라며, “중앙부처 차원의 제도적·재정적 지원을 강화하고, 지자체와 공공기관이 적극적으로 후보지를 발굴해 2030년까지 수도권 내 2.8만호 공급 목표를 반드시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