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 넘은 헬기도 28대··· 60년된 헬기까지 운항
조종사 인건비도 부족한 ‘저단가 구조’가 원인

[국회=환경일보] 김인성 기자 = 산불 진화 현장에서 운항 중인 헬기 10대 중 7대가 30년 이상 된 노후 기체인 것으로 드러났다.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부산 남구·기획재정위원회 간사)이 21일 조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조달청이 임차한 산불 진화용 헬기 88대 중 59대(약 67%)가 기령 30년 이상이었다. 이 중 40년 넘은 기체는 28대, 50년 이상은 9대, 심지어 60년 된 헬기도 3대나 운항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노후 헬기 운항은 안전 문제로 직결되고 있다. 2021년 이후 산불 진화 헬기 관련 사고는 5건 발생했으며, 9명이 사망하고 1명이 부상했다. 전문가들은 노후 기체의 구조적 결함이 사고의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한다. 그럼에도 조달청은 ‘다수공급자계약제도’를 통해 임차가격을 낮게 책정하고 있어 업체들이 헬기 정비나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헬기 업계 관계자는 “조종사 2명이 필요한데 현재 단가로는 1명의 인건비도 주기 어렵다”며 “유류비와 수입 부품값이 올라 헬기를 유지하기조차 힘든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조달청은 2020년과 2022년에 한차례 단가를 인상했지만, 각각 물가지수 반영(3%)과 유류비 한시 인상(1년 유지)에 그쳤다.
박수영 의원은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헬기가 반세기 된 노후 기체라니 심각한 문제”라며 “조달청은 헬기 단가 산정 시 감항검사 등 안전성을 반영하고, 기령에 따라 차등 단가를 적용하는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인성 기자
blue0318@hkb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