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서영 충청남도인생이모작지원센터장
[환경일보] Once hailed as a “miracle chemical,” PFAS (per- and polyfluoroalkyl substances) are now dubbed “forever chemicals.” Formed by carbon-fluorine bonds, these substances resist heat, water, and oil, which makes them widely used in waterproof clothing, frying pans, packaging, and fire-fighting foams. But the cost of that convenience is steep: because PFAS almost never degrade in nature, once released they can persist in the environment and the human body for centuries.
According to an investigation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South Korea, out of 188 water treatment plants nationwide in 2023, 82.9% detected PFOA, and 31.4% detected PFOS. In some regions, levels reached 10.5 ng/L—more than twice the U.S. drinking water standard of 4 ng/L. PFAS have also been found across the Namhan River watershed, showing how deeply they have infiltrated our environment. South Korea’s regulatory standards remain lax: while the U.S. limits PFAS to 4 ng/L, Korea still allows up to 70 ng/L.
Once PFAS enter the human body, they can impair liver and kidney function, disrupt the immune system, and increase risks of certain cancers. In 2023,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classified PFOA as a Group 1 carcinogen, and a study from the University of Bristol in the U.K. found that PFAS exposure raises cardiovascular mortality risk by 70%. Worse, these chemicals are not fully removed by water treatment processes; they move along food chains and return to humans.
Several countries have already begun countermeasures. The European Union will ban use of PFAS-containing fire-fighting foams starting in 2025, and France has passed a law to prohibit sales of PFAS in cookware and cosmetics starting in 2026.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has adopted some of the strictest limits and is pursuing multi-billion-dollar lawsuits against polluting companies. Near Melbourne,
South Korea is not exempt. PFAS already appear in the water treatment plants, industrial rivers, and some groundwater in Chungnam and Gyeongbuk. Yet government management remains at the “basic survey” stage.
Experts stress the urgency of building real-time monitoring systems at treatment plants, introducing PFAS-Free certification, and supporting research into safer alternatives. These invisible toxins are the shadow toll of our conveniences. Whether it’s the waterproof jacket we wear, the frying pan we use, or a single sheet of packaging, they may become toxins in our rivers. The PFAS problem is not about technical limits—it's about will. If we do not act now, these “forever chemicals” will continue cycling through future generations.
[한글 번역]
사라지지 않는 독, 우리 일상 속 ‘영원한 화학물질’ PFAS
한때 ‘기적의 화학물질’이라 불렸던 PFAS(과불화화합물)는 이제 ‘영원한 화학물질(Forever Chemicals)’로 불린다. 탄소와 불소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이 물질은 열과 물, 기름에 강해 방수 의류, 프라이팬, 포장지, 포소화약제 등에 널리 쓰인다. 그러나 그 편리함의 대가는 혹독한데, 자연에서 거의 분해되지 않아 한 번 배출되면 수백 년 동안 환경과 인체에 잔류한다.
대한민국 환경부 조사에 따르면 2023년 전국 정수장 188곳 중 82.9%에서 PFOA, 31.4%에서 PFOS가 검출됐다. 일부 지역의 수치는 미국 식수 기준치(4ng/L)를 초과한 10.5ng/L에 달했다. 남한강 수계 조사에서도 PFAS가 다수 검출돼 이미 우리 생활환경에 깊숙이 스며든 상태다. 한국의 기준은 여전히 느슨하다. 미국은 4ng/L로 규제하지만, 한국은 70ng/L까지 허용하고 있다.
PFAS는 인체에 들어오면 간·신장 기능 저하, 면역계 교란, 일부 암 발생 위험을 높인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23년 PFOA를 1군 발암물질로 분류했고, 영국 브리스틀대 연구에서는 PFAS 노출이 심혈관 질환 사망률을 70% 높인다는 결과도 나왔다. 문제는 이러한 물질이 정수 과정에서도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먹이사슬을 따라 다시 인간에게 돌아온다는 점이다.
여러 국가에서는 이미 대응에 나섰다. 유럽연합(EU)은 2025년부터 PFAS를 포함한 포소화약제 사용을 전면 금지하고, 프랑스는 2026년부터 PFAS가 들어간 주방용품과 화장품 판매를 막는 법을 통과시켰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세계에서 가장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고, PFAS 오염 기업을 상대로 수십억 달러 규모의 손해배상 소송을 진행 중이다.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PFAS는 이미 수도권 정수장과 산업단지 하천에서 검출되고 있으며, 충남·경북 지역의 일부 지하수에서도 검출 사실이 확인됐다. 그러나 정부의 관리 체계는 아직 ‘기초 조사’ 수준에 머물러 있다.
전문가들은 정수장 PFAS 실시간 감시체계 구축, PFAS-Free 인증제 도입, 대체물질 연구 지원이 시급하다고 강조한다. 보이지 않는 독은 결국 우리가 만든 편리함의 그림자다. 우리가 입는 방수 재킷, 사용하는 프라이팬, 포장지 한 장이 강물의 독이 되고 있다. PFAS 문제는 기술의 한계가 아니라 의지의 문제다. 지금 우리가 행동하지 않는다면, 이 ‘영원한 화학물질’은 다음 세대의 몸속에서도 계속 순환할 것이다.
염서영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 박사
충청남도인생이모작지원센터장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초빙교수
한국침례신학대학교 교양학부 겸임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