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모니아 혼소는 ‘가짜 감축 기술’ 주장··· 재생에너지 전환 요구 기자회견 열려

[환경일보] 기후솔루션, 삼척석탄발전반대투쟁위원회, 충남환경운동연합은 지난 3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삼척그린파워의 암모니아 혼소 발전 추진 중단과 석탄 조기폐쇄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번 기자회견은 정부가 지난 10월 청정수소발전의무화제도(CHPS) 입찰을 전격 취소하고, 국정감사에서 ‘석탄–암모니아 혼소는 중단해야 한다’고 공식 발표한 이후 열린 첫 시민사회 공동행동이다.
홍영락 기후솔루션 연구원은 “정부가 올해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을 취소했지만, 지난해 낙찰된 삼척그린파워는 여전히 혼소 발전을 계획 중”이라며 “탈석탄 정책의 일관성과 신뢰를 위해 삼척그린파워의 암모니아 혼소 계획을 철회하고, 재생에너지 기반의 그린수소 생산과 산업 부문 탈탄소화에 정책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조순형 충남환경운동연합 팀장은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의 전격적인 취소를 환영한다”며 “앞으로 수립될 제12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는 암모니아 혼소 방식을 전면 제외하고, LNG 발전의 수소 혼소 방식도 재검토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혼소에 투입될 막대한 예산을 석탄발전 조기폐쇄와 재생에너지로의 정의로운 전환에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성원기 삼척석탄발전반대투쟁위원회 공동대표는 “삼척석탄화력반투위는 석탄화력 중단을 위해 979일째 탈탈탈 순례, 1,339일째 피켓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며 “한국남부발전은 암모니아 혼소라는 이름으로 석탄발전을 유지하려 하지만, 이 방식은 온실가스 감축, 발전단가, RE100 대응, 대기오염 저감 등 어떤 측면에서도 유효하지 않다. 태양광과 풍력, 에너지 저장 장치를 중심으로 에너지 전환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의 혼소 중단 선언은 그간 ‘청정수소’라는 이름으로 석탄발전 수명을 연장하고 국민 부담을 늘려온 혼소 기술의 한계를 인정한 조치다. 그러나 삼척그린파워는 여전히 지난해 CHPS 입찰에서 낙찰된 혼소 발전 개조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는 정부가 부정한 기술을 발전 공기업이 계속 이어가려는 것으로, 명백한 정책 모순이자 국민에게 불필요한 부담을 안기는 결정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삼척그린파워의 혼소 발전은 실질적 감축 효과가 거의 없는 ‘속임수 감축 기술’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전체 연료의 80%는 여전히 석탄이며, 암모니아 비율은 20%에 불과하다. 감축 효과는 미미한 반면, 설비 개조와 운영에 막대한 비용이 투입돼 석탄발전소 운영기간을 오히려 연장시키는 구조다. 이는 정부의 탈석탄 정책 기조와도 정면으로 배치된다.
또한 삼척그린파워의 혼소 사업은 국민의 전기요금으로 석탄 발전을 유지하는 구조라는 점에서도 문제다. 혼소 기술은 에너지 효율이 낮고 연료비가 높아 재생에너지보다 2~3배 비싼 전기를 생산하게 되며, 그 비용은 전기요금에 반영돼 국민이 ‘청정수소’라는 이름으로 더 비싼 석탄 전기를 구입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는 전기요금의 투명성과 정당성을 훼손하고 국민 재산권을 침해하는 행위라는 지적이다.
더불어 혼소 추진은 해외 연료기업에만 이익을 주는 불공정 구조를 낳는다. 삼척그린파워 혼소 발전에는 약 5조 원 규모의 운영비가 필요하며, 대부분 수입 암모니아 연료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실질적 감축은 거의 없지만 막대한 자금이 국민 전기요금에서 조달돼 해외 화석연료 기업의 수익으로 전환되는 구조다. 이에 대해 시민사회는 “국민 부담으로 해외 기업 이익을 보전하는 사업이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날 세 단체는 ▷삼척그린파워의 암모니아 혼소 발전 계획 즉각 철회 ▷혼소 예산을 석탄 조기폐쇄와 재생에너지 전환 지원에 활용 ▷제12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석탄–암모니아 혼소 전면 제외 등을 정부에 강력히 요구했다.
시민사회는 정부가 발전 부문에서의 수소·암모니아 혼소를 전면 중단하고, 재생에너지 기반의 그린수소·그린암모니아 생산과 산업 부문 탈탄소화에 정책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탈석탄 공약의 실질적 이행을 위해 혼소 기술에 투입되는 예산을 조기폐쇄와 정의로운 전환으로 돌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