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 현장 해양오염 우려 커져··· 천연기념물 서식지와 어업 터전 위협

현장에서 공사 중 시멘트 폐기물을 재사용 하고 있다. /사진제공=인천녹색연합
현장에서 공사 중 시멘트 폐기물을 재사용 하고 있다. /사진제공=인천녹색연합

[환경일보] 인천녹색연합은 최근 인천시 옹진군 백령면 진촌리 하늬해변 일대에서 진행 중인 ‘25-M-00부대 해안호안 보강 공사’ 현장에서 시멘트 옹벽 폐기물이 방치되고, 차단펜스 등 오염 확산 방지시설이 설치되지 않아 해양오염 우려가 높은 상황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해당 지역은 지역 주민의 생계 기반인 어업 활동이 이뤄지는 장소이자, 천연기념물 점박이물범의 국내 최대 서식지이며 국가생태관광지역이자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된 생태적으로 중요한 곳이다. 인천녹색연합은 군부대가 상황을 신속히 파악하고 시급히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25-M-00부대 해안호안 보강 공사’는 백령도 하늬해변, 사항포, 연화리 일대의 해안 보강을 위한 사업으로, 2025년 8월 11일부터 2027년 8월 17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하늬해변의 공사 구간은 총연장 378.3m의 호안과 800m 길이의 울타리 설치를 포함하고 있다.

지난 1일, 인천녹색연합과 점박이물범을사랑하는사람들의모임(점사모)은 현장을 방문해 시멘트 옹벽 철거 폐기물이 적정 처리되지 않은 채 공사차량 통행용 진입로 포장에 재사용되고 있는 상황을 확인했다. 현장 확인에 동행한 진촌1리 이장과 지역 주민 등의 문제제기에 따라 시공사는 해당 폐기물을 11월 2일 오전 10시에 제거하기로 했다.

그러나 11월 2일 다시 현장을 확인한 결과, 전 공사 구간에 해양오염 방지를 위한 차단펜스나 침사지는 여전히 설치돼 있지 않았고, 만조 시 바닷물에 공사구간이 그대로 노출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었다. 또한 진입로에 사용됐던 시멘트 폐기물 외에도, 해안가 다른 위치에 남겨진 폐기물은 여전히 방치돼 있었다. 이는 폐기물 관리 및 해양환경 보전에 있어 명백한 법적 위반 소지가 있는 행위이며, 방출된 폐기물이 옮겨진 적치장 역시 임시로 급히 설치된 것으로 의심되고 있다.

방치되고 있는 옹벽 시멘트 폐기물 /사진제공=인천녹색연합
방치되고 있는 옹벽 시멘트 폐기물 /사진제공=인천녹색연합

하늬해변과 인접 해역은 굴, 조개, 해삼 등 주요 어장이 형성돼 있고, 지역 주민들의 주 수입원인 미역과 다시마가 서식하는 생계 터전이다. 이곳은 감람암포획현무암이 분포한 천연기념물 지질 유산이자, 멸종위기Ⅰ급 점박이물범의 주요 서식지, 해양보호생물인 잘피 군락이 자라는 해양생태계의 보고로도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군부대는 생태적·사회적 가치를 고려하지 않은 채 시멘트 폐기물로 해안 진입로를 포장하고, 폐기물을 해변에 방치하며 바닷물과의 접촉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시멘트 잔재물은 해수의 pH를 상승시키고, 중금속 오염과 퇴적환경의 교란을 유발해 어패류의 산란지와 해양식물 군락, 그리고 점박이물범의 생태환경에 장기적인 피해를 줄 수 있다. 이는 단순한 현장 관리 소홀을 넘어 군 공사의 환경영향평가 사각지대를 드러낸 사례로 지적된다.

이에 인천녹색연합은 군부대에 ▷공사 현장 전반의 즉각적인 진단 및 점검 ▷철거된 시멘트 폐기물 전량 수거 및 적법 처리 ▷오염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펜스·침사지 즉시 설치 ▷공사 전후 해양환경, 퇴적물, 저서생물 영향 조사 실시 △군 공사 외부환경감시단 구성 및 지역 주민 참여 보장을 요구했다.

백령도 하늬해변은 단순한 군 시설 설치지가 아닌, 중요한 생태유산이자 지역 주민의 삶의 터전이다. 국가가 보호해야 할 지역에서 이 같은 환경 파괴가 자행되고 있는 현실을 묵과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인천녹색연합은 향후 군·정부·지자체가 책임을 다하도록 요구하고, 어민·주민 단체들과 함께 지속적인 현장 모니터링을 이어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