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LH, 스마트건설 엑스포서 미래형 스마트주거공간 전시

국토부와 LH가 모듈러 공법 활성화를 위한 법 제정과 공공주택 발주 확대에 나서며, 주택공급 속도와 품질 제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사진=환경일보DB
국토부와 LH가 모듈러 공법 활성화를 위한 법 제정과 공공주택 발주 확대에 나서며, 주택공급 속도와 품질 제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사진=환경일보DB

 

[환경일보] 국토교통부(장관 김윤덕)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모듈러 공법의 우수성과 확산 필요성을 알리기 위해 7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건설·안전·AI 엑스포’에 모듈러주택 전시홍보관을 운영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국토부와 LH가 삼성전자와 협력해 모듈러 공법과 AI 가전기술이 융합된 ‘미래형 스마트주거공간’을 선보인다. 현장에는 실제 모듈러주택(Mock-up)이 설치되며, 음성제어 냉장고, AI 콤보 세탁건조기, 사물인터넷(IoT) 기반 침실 등 최첨단 가전이 갖춰져 미래 주거의 모습을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다.

OSC·모듈러 공법은 주요 구조물을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뒤 현장에서 조립만으로 건축을 완성하는 방식으로, 기존 현장 중심 시공 방식에 비해 생산성, 안전성, 품질관리 측면에서 다양한 장점을 갖는다. 공사기간을 약 20~30% 단축할 수 있어 신속한 주택공급이 가능하며, 고소작업이 줄어들어 현장의 안전사고 위험도 크게 낮출 수 있다. 또한 기상 악화 등 외부 환경에 영향을 적게 받아 일관된 품질 확보에 유리하다.

이 공법은 공장 내 자동화 설비를 활용해 현장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어 숙련인력 부족과 고령화 등 현재 건설현장이 겪는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정부는 지난 ‘9.7 주택공급 확대방안’을 통해 이 같은 OSC·모듈러 기술의 활성화를 선언한 바 있으며, 이에 대한 후속 조치로 ‘OSC·모듈러 특별법’(가칭) 제정을 추진한다. 해당 법은 그간 미비했던 설계, 감리, 품질관리 등 법적 기준을 마련하고 불합리한 규제를 해소하며,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국토부는 250억 원 규모의 연구개발(R&D) 사업을 통해 모듈러주택의 고층화와 단지화를 위한 기술 개발을 지원 중이다. 이와 함께 연간 3000호 규모의 공공주택 발주 물량을 확보해 민간 시장에 마중물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김규철 주택토지실장은 “모듈러 기술의 발전은 주택 품질과 건설 생산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정부는 공사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고품질 주택을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모듈러주택 활성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