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 설치와 인공 지능(AI) 기반 에너지 관리 효율화

시는 11월5일 전국 최초로 부산의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 지정이 최종 확정됐다고 전했다. /사진제공=부산시 
시는 11월5일 전국 최초로 부산의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 지정이 최종 확정됐다고 전했다. /사진제공=부산시 

[부산=환경일보] 장가을 기자 =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11월5일 오전 9시 30분 기후에너지환경부장관 주재 에너지위원회에서 전국 최초로 부산의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이하 분산 특구) 지정이 최종 확정됐다고 밝혔다.

시는 지난 4월 산업통상자원부(현 기후에너지환경부)에 분산 특구 지정을 신청했으며, 5월 실무위원회를 통해 11개 지자체 25개 사업 중 부산, 울산, 경북, 경기, 충남, 전남, 제주 7개 지자체 7개 사업을 최종 후보로 압축한 뒤, 오늘 에너지위원회를 통해 부산, 전남, 경기, 제주 4개 지자체 4개 사업을 분산 특구로 최종 확정하고, 울산, 경북, 충남 3개 지자체 3개 사업은 결정을 보류했다.

분산 에너지 특구는 에너지를 사용하는 수요지 인근에서 전력을 생산‧소비하는 ‘에너지 지산지소’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제도로, 새 정부 국정과제에 포함된 핵심 에너지 정책 중 하나이다. 

특히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라 지정된 특구에서는 분산 에너지 사업자가 전력시장을 거치지 않고 지역 내에서 생산한 전기를 직접 거래할 수 있어, 지역 단위의 자립적 에너지 생태계 조성에 기여한다.

시는 분산 특구의 3가지 유형(전력수요유치형, 공급자원유치형, 신산업활성화형) 중 '신산업활성화형'으로 지정됐으며,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 설치와 인공 지능(AI) 기반 에너지 관리 효율화를 핵심 내용으로 추진한다.

분산 특구 대상 지역은 에코델타시티, 명지지구, 강서권 6개 산업단지(명지녹산, 미음, 신호, 화전, 생곡, 국제물류도시)로 총 49.9㎢, 1,511만 평에 달한다. 이번 사업의 핵심인 에너지저장장치(ESS)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활용해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고, 필요시 공급함으로써 계통 안정성과 에너지 가격 경쟁력을 동시에 높이는 장치이다.

또 에너지저장장치(ESS)와 함께 에너지관리시스템(EMS)과 인공 지능(AI) 기반 지능형 전력망(Smart Grid)을 결합해 에너지 수요와 공급을 실시간으로 최적화함으로써 미래형 에너지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다.

박형준 시장은 “전국 최초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 지정은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넘어 부산의 산업 경쟁력과 도시 경쟁력을 한 단계 높이는 전환점이 될 것이다. 이를 계기로 시는 에너지 자립과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친환경 에너지 글로벌 허브도시로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시민 여러분의 응원과 참여 속에 사직 야구장 재건축 사업 국비 299억원 확보, 시민의 오랜 염원인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25년만 부산 개최 전국 체전에서 2위를 달성했고 부산 방문 외국인 관광객 300만 돌파 임박, 1000억원이 넘는 기업 투자와 신규 일자리 창출이 예상된다”고 전했다. 

덧붙여 “시장에 출마하며 공약했던 차세대 부산형 급행철도(BuTX) 사업의 민자 적격성 조사 통과를 통한 사업 본격 추진 등 여러 분야에서 굵직한 현안의 결실을 하나씩 맺고 있다. 이후 시는 시민과 함께 미래로 나아가겠으며, 늘 부산을 믿고 응원해주신 시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 드린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