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전문가 참여하는 공식 자문기구 구성해 정책과 산업 전반 점검

[경기=환경일보] 김성택 기자 = 경기도가 인공지능 정책의 방향성과 실행 전략을 총괄적으로 살필 공식 자문기구인 인공지능위원회를 출범시키고 도정 전반에서의 AI 활용을 본격 확대한다.
출범식은 11일 경기도서관 AI스튜디오에서 열렸으며, 민간위원 19명에 대한 위촉식도 함께 진행됐다. 위원회는 경기도 인공지능 기본조례를 근거로 신설된 기구로 행정과 산업, 기술과 윤리, 공공과 민간을 연결하는 협의 플랫폼 역할을 맡는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출범식에서 “위원회가 정해진 틀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활동해주기를 바란다”며 “창의적인 제안과 새로운 시각이 도정의 혁신을 이끄는 동력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경기도가 전국 최초로 AI국을 신설한 점을 언급하며 위원회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했다.

공동위원장을 맡은 강경란 아주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대학 학장은 “AI 기술이 발전해도 사람이 중심에서 벗어나서는 안 된다”며 “산업 성장과 함께 소외되는 계층을 최소화하는 균형 잡힌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위원회는 모두 22명으로 구성되며, AI정책과 윤리, AI융합산업, AI혁신행정 세 개 분과로 나뉘어 활동한다.
AI정책과 윤리 분과는 도민 대상 AI서비스의 공정성과 투명성, 책임성 확보 방안을 맡고, AI융합산업 분과는 AI기업 육성과 산업단지 구축, 산학연 협력 체계 구축을 담당한다. AI혁신행정 분과는 행정서비스 전반의 AI 적용과 정보보안 강화, 인프라 고도화 전략을 다룬다.
경기도는 위원회 운영을 기반으로 AI 등록제, 생성형 AI 행정서비스, 피지컬 AI 도입 등 핵심 사업을 추진한다.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AI 기반 복지와 의료, 안전 서비스, 교육 프로그램 확대 등 생활 밀착형 정책도 함께 강화할 예정이다.
경기도는 국가 전략인 글로벌 AI 강국 실현과 보조를 맞추면서 도를 대한민국 AI 중심지로 자리매김시키는 것이 목표다. 또한 AI 기술의 발전과 윤리를 균형 있게 다루는 안전한 AI 생태계 구축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