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이산 복원 가능성 입증··· 임업인 소득 증대 기대

[환경일보]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12일 송이 감염묘를 활용한 인공재배 연구 결과,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산불피해지에서 3년 연속 송이 발생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국립산림과학원은 1996년 대형 산불로 피해를 입은 고성 지역의 송이산 복원을 위해 2007년 송이감염묘 27본을 이식했다. 이후 2023년 첫 송이 5개체가 발생한 데 이어, 2024년 1개체, 2025년에는 11개체가 추가로 발생하며 인공재배 기술의 실효성과 안정성을 입증했다.
또한 생물의 신분증 역할을 하는 SSR마커를 이용한 DNA 분석 결과, 송이가 발생한 고성과 감염묘가 육성된 홍천 시험지의 유전형이 동일하다는 것이 확인됐다. 이는 감염묘가 송이 발생에 직접 기여했다는 사실을 과학적으로 입증한 중요한 사례로 평가된다.
한편, 홍천 송이감염묘 시험지에서는 2010년 첫 송이 발생 이후, 2017년부터 2025년까지 9년 연속으로 송이가 자생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전년 대비 약 58.8% 증가한 27개체의 송이가 새로 발생했다. 이러한 증가는 송이 발생 시기에 적절한 기온과 수분 조건이 조성된 데 더해, 간벌, 가지치기 등 지속적인 산림 관리의 복합적 효과로 해석된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미생물이용연구과 박응준 과장은 “고성과 홍천 사례는 송이감염묘가 송이산 복원과 확대에 적용 가능한 실질적 방법임을 입증한 것”이라며 “향후 기술 보급을 확대해 송이산 조성을 촉진하고, 임업인의 소득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박준영 기자
in00k3@hkb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