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위험지수·습도·무강우일수 등 분석 통해 전국 산불 경각심 제고

단기(3일) 15시 전국 산불위험예측정보 /자료제공=국립산림과학원
단기(3일) 15시 전국 산불위험예측정보 /자료제공=국립산림과학원

[환경일보]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 산림재난예측·분석센터는 전국 대부분 지역의 산불위험지수가 ‘다소 높음’ 단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앞으로 ‘높음’ 단계에 이르는 지역이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불씨 관리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국가산불위험예보시스템 산불위험지수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 11월 중 산불위험지수가 ‘다소 높음’일 때 하루 평균 산불 발생 건수는 1.2건이었으며, ‘높음’ 단계에서는 하루 평균 3건으로 약 2.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 10년간 11월 무강우일수를 분석한 결과, 비가 3일 연속 내리지 않은 경우 일평균 산불은 1.5건, 4일은 1.6건, 5일은 2.3건으로 증가했고, 가장 길게 비가 오지 않았던 13일 연속 무강우 기간에는 일평균 산불이 3.2건으로 11월 전체 평균인 0.86건보다 약 3.7배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평균습도 역시 산불위험과 큰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0년간 가을철 평균습도 분석 결과, 평균습도가 30~50% 범위일 때 일평균 산불 발생 건수는 3.2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는 건조한 날씨가 산불 발생을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임을 시사한다. 실제로, 올해 가을철 산불조심기간 중 6건의 산불이 발생했던 지난 11월 10일의 전국 평균습도는 45%로 분석됐다.

기상청 예보에 따르면 주말까지 전국적으로 비 소식 없이 맑고 건조한 날씨가 이어질 것으로 보여, 산불 발생 위험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산불연구과 원명수 과장은 “주말까지 전국적으로 비 소식이 없는 건조한 날씨가 지속되면서 산불위험이 점차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가을철 산불조심기간에는 입산통제구역 출입을 삼가고, 불법소각 등으로 인한 산불이 발생하지 않도록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예방활동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