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시경 병변 탐지부터 안전 지게차·특허 AI까지 사업화 성과 이어져

[경기=환경일보] 김성택 기자 = 경기도의 실증 지원을 거쳐 사업화에 성공한 인공지능 기술들이 공개됐다. 의료 현장에서 병변을 실시간으로 탐지하는 AI 내시경, 위험 상황을 학습해 안전 운행을 돕는 AI 지게차, 특허 문서를 하루 만에 완성하는 특허출원 AI까지 다양하다. 일부 기업은 현대, 엔비디아 등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도 본격화되고 있다.
경기도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은 14일 판교에서 ‘The AI Wave – AI로 쓰는 경기의 내일’을 주제로 ‘2025 경기도 AI 실증지원사업 성과발표회’를 열었다. 실증 참여기업 26개사, 벤처캐피탈, 액셀러레이터 등 100여 명이 참석해 AI 기술 실증과 사업화 전략을 공유했다.
경기도는 경쟁력 있는 AI 기술이 실제 환경에서 검증되고 시장성까지 확보될 수 있도록 실증 과제비와 현장 테스트 기회를 제공해 왔다.
눈길을 끈 기술 가운데 하나는 ㈜하빕의 ‘AI 특허출원 도우미’다. 변리사와 AI가 하나의 화면에서 문서를 공동 작성·검증해 기존 한 달 이상 걸리던 특허 준비 기간을 하루 수준으로 단축했다. 비용도 절반 이하로 낮춰 초기 기업의 특허 장벽을 크게 낮췄다는 평가다.

바이오·헬스 분야에서는 중앙대학교 광명병원과 도내 기업이 함께 실증한 ‘AI 내시경 병변 탐지 기술’이 발표됐다. 내시경 장비에 실시간 탐지 AI를 탑재해 대장내시경 과정에서 놓칠 수 있는 병변을 즉시 알려주는 방식으로, 국내 최초로 실검 영상 기반의 데이터 축적 과정을 거쳐 신뢰도를 높였다.
제조·산업안전 분야에서도 대기업 협업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올에이아이는 현대건설 오픈이노베이션 파트너로 선정돼 건설 현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AI 시범 적용을 진행하고 있으며, 웨스트문은 HD현대 삼호와 함께 지게차 주행 안전 AI 보조시스템을 개발해 위험 상황 재현 학습 기능을 고도화하고 있다.
경기도는 국내 공공기관 중 유일하게 엔비디아와 협력해 NGG(NVIDIA Growth Gyeonggi)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이 프로그램 참여기업인 엔닷라이트는 엔비디아의 글로벌 스타트업 대회 ‘인셉션 스타트업 그랜드 챌린지 2025’에서 최종 5개 기업에 선정된 유일한 한국 기업이 됐다. 엔닷라이트는 오는 17일 ‘엔비디아 AI DAY’ 쇼케이스 무대에 오르고, 내년 미국에서 열리는 ‘NVIDIA GTC 2026’에도 공식 초청됐다.
경기도는 실증–대기업 협력–해외 진출–투자유치로 이어지는 혁신 AI 생태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김기병 경기도 AI국장은 “AI 기업이 실증을 통해 기술을 고도화하고 바로 사업화로 이어지도록 지원체계를 확대하겠다”며 “경기도를 AI 기업이 창업하고 성장하기 가장 좋은 지역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