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녹색연합, 도시개발 전 서식 현황 파악과 생태정보 반영 시급

인천녹색연합은 인천 내륙 금개구리 서식지의 절반이 개발로 소멸 위기에 놓였다며, 도시생태현황지도 갱신과 시민과학 데이터 반영, 대체서식지 효과 검증 등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사진제공=인천녹색연합
인천녹색연합은 인천 내륙 금개구리 서식지의 절반이 개발로 소멸 위기에 놓였다며, 도시생태현황지도 갱신과 시민과학 데이터 반영, 대체서식지 효과 검증 등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사진제공=인천녹색연합

[환경일보] 인천녹색연합이 문헌 조사와 현장 확인을 통해 인천 내륙지역의 금개구리 서식 현황을 파악한 결과, 총 21곳 약 490만㎡(인천 내륙 전체 면적 350㎢의 1.4%)에서 금개구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이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48%의 논습지가 개발로 사라질 위기에 놓여 있어 보전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금개구리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이자 인천시 깃대종으로, 논습지가 주요 서식지로 알려져 있다.

특히, 삼산4지구 도시개발사업 부지에서는 많은 금개구리가 서식하는 사실이 확인됐으며, 이 지역은 금개구리 서식 논습지 전체 면적의 16%를 차지한다. 그럼에도 인천시는 지난 10월 해당 사업의 전략환경영향평가 항목 결정을 공개하며 개발을 위한 행정 절차 추진 계획을 밝힌 바 있어 서식지 보전 우려가 커지고 있다.

계양산업단지는 이미 환경영향평가를 마치고 착공을 앞두고 있으며, 검단천 하류 인천 에코사이언스파크 부지도 전략환경영향평가 이후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지정돼 개발이 진행 중이다. 이 지역 또한 금개구리 서식지가 확인됐으며, 전체 논습지 서식지의 24%에 해당한다.

인천녹색연합은 도시생태현황지도와 행정자료만으로는 금개구리 서식 현황을 제대로 파악하기 어렵다며 갱신 필요성을 강조했다. 실제 이번 조사에서는 온라인 시민과학 플랫폼 ‘네이처링’의 기록과 14명의 시민과학자 현장조사를 함께 반영해 총 21곳의 서식지를 확인했으나, 인천시 공식 도시생태현황지도에는 이 중 7곳(면적 기준 46%)만 등재돼 있다. 이는 제한적 용역조사에 의존하고 시민조사나 추가 생태 정보를 충분히 반영하지 않은 결과라는 지적이다.

박주희 인천녹색연합 사무처장은 “인천시가 파악하지 못한 깃대종 서식 정보의 공백을 시민과학이 충분히 메울 수 있다”며 “도시생태현황지도에 시민과학 데이터를 반영해 개발계획 단계에서 보호종 서식지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인천시가 이미 백령도 점박이물범 시민 모니터링 자료를 도시생태현황지도에 활용한 바 있어 시민과학 데이터의 정책 활용 가능성이 충분히 입증됐다고 설명했다.

인천녹색연합은 금개구리를 대체서식지로 이주시킨 뒤 개발을 진행하는 기존 관행에 대해서도 효과 검증이 선행돼야 한다고 비판했다. 장아산공원과 심곡천 하류 대체서식지 조사에서 금개구리가 확인되지 않은 점은 관리 부실과 환경 악화의 문제를 드러낸다는 분석이다. 그럼에도 행정은 여전히 보호종 포획 후 이주 조치만으로 사업을 계속 추진하는 방식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취지에 어긋난다는 지적이다.

인천녹색연합은 금개구리 보호를 위해 ▷논습지 보전 방안 마련 ▷공원형 금개구리 서식지 관리 지침 수립 ▷대체서식지 현황과 이력 추적 및 서식 모니터링을 통한 효과 검증 ▷도시생태현황지도(양서파충류 주제도)의 상시 갱신과 시민과학 데이터 적극 반영 등을 주요 과제로 제시했다.

정홍석 인천녹색연합 활동가는 “단계적 과제 이행을 위해 행정기관과 지속적으로 협의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