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급 가속화 확인··· 산업경쟁력 강화

기후에너지환경부(장관 김성환)는 2025년 11월13일 기준 국내 연간 전기차 보급대수가 20만대를 기록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사진=환경일보DB
기후에너지환경부(장관 김성환)는 2025년 11월13일 기준 국내 연간 전기차 보급대수가 20만대를 기록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사진=환경일보DB

[환경일보] 김인성 기자 = 기후에너지환경부(장관 김성환)는 2025년 11월13일 기준 국내 연간 전기차 보급대수가 20만대를 기록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이전 최대였던 2022년의 16만4000대를 크게 웃도는 수치로, 전기차 보급 확산이 다시금 가속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기차 보급은 2011년 사업 개시 이후 꾸준히 증가해 2021년 처음으로 10만대를 돌파했으며, 4년 만에 그 두 배 수준으로 확대됐다. 올해 보급량은 전기승용 17만2000대, 전기승합 2400대, 전기화물 2만6000대이며, 국산 비중은 승용 55%, 승합 64%, 화물 93%로 나타났다. 특히 전기버스의 국산 점유율은 2023년 45.8%까지 떨어졌으나, 2024년·2025년에 63~64% 수준으로 회복됐다.

수소차 보급도 확대 추세다. 올해 수소차 보급은 5900대를 기록해 전년 대비 증가했으며, 전기·수소차의 누적 보급대수는 약 95만대로 집계됐다. 이 같은 증가 추세가 이어질 경우 내년 초에는 누적 100만대 달성이 유력하다.

전기·수소차 보급 확대는 연초 보조금 지침 확정에 따른 사업 조기 착수, 제조사의 다양한 신차 출시 효과, 충전 인프라의 양적·질적 확대 등이 주된 요인으로 분석된다. 급속충전기는 2020년 1만기에서 올해 10월 5.2만기로, 완속충전기는 5.4만기에서 42만기로 늘어났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2011년부터 전기차 및 충전 인프라 지원을 시작해 기술 발전과 신차 출시 흐름에 맞춰 보조금 제도를 지속적으로 개선해왔다. 특히 높은 성능과 경제성을 갖춘 차량을 우대하는 보조금 체계를 통해 제조사의 기술 혁신을 유도하고 있으며, 그 결과 1회 충전 주행거리가 2011년 140km에서 2025년 550km(EV4 기준)까지 확대되는 등 시장 경쟁력이 강화되고 있다.

정부는 올해 보급 확대 흐름을 기반으로 2030년과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을 위해 전기차 보급정책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보조금 체계 개편과 함께 부품·연관 산업 전반을 고려한 지원수단 발굴을 지속할 방침이다.

김성환 장관은 “전기차는 수송부문 탈탄소 전환의 핵심축”이라며 “향후 전기·수소차 신차 판매 비중이 2030년 40% 이상, 2035년 70% 이상을 달성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단순한 보급 확대를 넘어 국내 자동차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도록 촘촘한 정책을 지속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