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 중심 디지털 격차 실태 분석, 수원시 포용 전략 개선안 제시

[수원=환경일보] 김성택 기자 = 수원특례시의회 의원연구단체 ‘스마트 수원을 위한 디지털 포용 정책과 실행 방안 연구회’가 18일 수원특례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 회의실에서 최종보고회를 열고 지난 반년간의 연구 활동 결과를 공유했다.
연구회에는 대표의원 최정헌 의원을 비롯해 김소진, 이찬용 의원과 성균관대학교 연구진이 참석했다. 연구회는 5월부터 국내외 디지털 혁신 사례를 조사하고 시민 대상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며 AI 시대에 필요한 디지털 포용 정책 방향을 모색해 왔다.
성균관대학교 연구진은 특히 디지털 환경에 취약한 고령층을 중심으로 수원시 디지털 포용 정책의 현황을 분석했다. 교육 관계자 의견을 반영한 주요 개선점도 함께 제시했다. 참석자들은 이를 바탕으로 자기진단 체계를 구축하고 관학 협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두고 의견을 나눴다.
김소진 의원은 “정보화 인프라 확충과 교육 참여 확대도 중요하지만 빠르게 등장하는 기술을 따라가기 위해선 상황에 맞는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정헌 의원은 “모든 세대가 디지털 기반 사회에서 차별 없이 참여하기 위해선 디지털 활용 능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가 수원시 디지털 포용 정책 강화의 토대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연구회에는 최정헌 대표의원과 김경례, 김소진, 이대선, 이찬용, 최원용, 홍종철 의원 등 7명이 참여했다. 연구 결과는 향후 수원시 관련 부서와 공유돼 사회통합을 돕는 정책 발굴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김성택 기자
echo@hkb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