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규제 강화 속 에코디자인·PPWR 대응 필요
산업 전환과 협력 기반 순환경제 체계 구축 시급

18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2025 대한민국 친환경패키징포럼'이 열렸다. /사진제공=한국환경연구원
18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2025 대한민국 친환경패키징포럼'이 열렸다. /사진제공=한국환경연구원

[환경일보] 국내외 포장재 규제가 급변하는 가운데, 한국이 순환경제 전환의 핵심 고리인 패키징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루기 위한 논의의 장이 열렸다. 유럽의 에코디자인 규정과 PPWR 같은 강력한 기준이 현실화되면서 한국 기업의 대응 속도와 제도적 토대 마련이 중요해지는 시점이다. 기술 혁신과 법제화, 산업계 협력이 동시에 요구되는 과제를 중심으로 전문가·정부·산업계가 해법 찾기에 나섰다.

한국환경연구원(KEI, 원장 김홍균)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지속가능한 패키징 솔루션: 순환경제를 위한 혁신, 규제 및 협력’을 주제로 ‘2025 대한민국 친환경패키징포럼’을 공동 주관했다.

이번 포럼은 대한민국 친환경패키징포럼위원회가 주최하고 KEI를 비롯해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 한국환경공단,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한국식품산업협회, 한국플라스틱포장용기협회, 경연전람 등이 공동으로 참여했다.

김종경 대한민국친환경패키징포럼위원회 회장은 개회사에서 “친환경패키징포럼이 올해로 6년째를 맞이했다”며 “단순한 친환경 캠페인을 넘어 실질적인 기술 대안과 혁신을 제시하고 순환경제 전환을 이끄는 산학관연 협력 실천의 장”이라고 밝혔다.

김홍균 KEI 원장은 환영사에서 “이번 포럼은 학계, 산업계, 정부가 함께 이론과 실무를 맞대고 논의하는 협력의 자리”라며 “패키징과 과대포장, 폐기물 문제는 익숙한 주제지만 과소비와 복잡한 유통구조로 인해 해결이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유럽의 에코디자인, 포장·포장폐기물 규정(PPWR) 등 체계적 법제가 이미 시행 중인 반면, 한국은 관련 법제화가 미흡하다”며 “아무리 좋은 아이디어라도 법제화되지 않으면 실효성이 낮다”고 강조했다.

김동진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 이사장은 축사에서 “한국은 EPR 기반 재활용 시스템을 통해 폐기물 순환경제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며 “2050년까지 안정적인 순환경제 체계 구축을 목표로 자원 인프라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명자 KAIST 및 한국환경한림원 이사장은 개회 연설에서 “지금은 기후위기를 넘어 글로벌 보일링 시대에 접어든 만큼 기존 대응 방식에서 벗어난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며 “플라스틱의 복잡한 특성과 사용·수거 구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AI와 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전환이 중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소라 실장은 “포장재는 수명이 수개월에 불과하며 단기 사용 플라스틱의 절반 이상을 차지해 순환경제 전환의 핵심 타깃이 된다”며 “에코디자인 규정과 PPWR은 한국 기업의 시장 접근성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전략적 대응이 국가 경쟁력 확보에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사진=환경일보DB
이소라 실장은 “포장재는 수명이 수개월에 불과하며 단기 사용 플라스틱의 절반 이상을 차지해 순환경제 전환의 핵심 타깃이 된다”며 “에코디자인 규정과 PPWR은 한국 기업의 시장 접근성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전략적 대응이 국가 경쟁력 확보에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사진=환경일보DB

18일 열린 KEI 주관 ‘글로벌 환경규제에 따른 정책 방향’ 세션에서는 이소라 KEI 순환경제연구실장이 좌장을 맡아 진행했으며, 루치아나 펠레그리노 WPO 회장, 맹학균 기후에너지환경부 자원재활용과장, 전형석 UL Solutions 부문장이 기조 발제를 맡았다.

맹학균 과장은 “글로벌 규제가 이미 현실화된 상황이며, 한국형 에코디자인 제도화 로드맵에 따라 제품과 포장재 설계 단계부터 구조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형석 부문장은 EU 시장 진입을 위해 2030년 이후부터 필요한 포장 소재 설계, 재활용성 기준, PCR 의무 사용, 유해물질 관리, 기술문서 작성 요건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이소라 실장은 “이번 포럼은 실천 중심의 협력 플랫폼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KEI는 글로벌 환경 규제 변화에 뒤처지지 않고 오히려 새로운 규범을 제안하는 전략적 연구를 계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