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154만 목표, 균형발전 구조 확정

[경기=환경일보] 김성택 기자 = 경기도가 24일 화성시가 제출한 2040년 도시기본계획을 최종 승인했다. 도시공간 구조와 장기 발전 전략을 아우르는 최상위 계획으로, 화성의 미래 성장 방향이 공식 확정됐다.
2040년 화성시 목표 인구는 약 154만 명으로 설정됐다. 인구는 통계청 추계와 공공주택지구, 역세권 개발 등 예정 사업의 유입 규모를 종합 반영한 수치다.
토지이용계획은 행정구역 1126.32㎢ 가운데 개발이 이뤄진 시가화용지를 102.19㎢로, 장래 개발 가능 지역인 시가화예정용지를 46.85㎢로 결정했다. 나머지 977.28㎢는 보전용지로 관리한다.
공간구조는 지역 간 균형발전을 위해 2도심 4부도심 9지역중심 체계로 재편된다. 생활권은 동탄·동부·중부·서부의 4개 권역으로 나뉜다. 동탄권은 신산업 생태계와 친환경 도시, 동부권은 광역환승거점 중심의 원도심 정비, 중부권은 산학연 네트워크 구축과 녹색 관광벨트, 서부권은 자동차와 바이오 등 신성장산업 및 해양관광 육성을 전략으로 삼았다.
교통계획에는 생활권을 연결하는 순환도로망과 GTX A·C 노선 등 광역철도 계획을 반영했다. 경기 서부권 사회간접자본 확충과 연계해 장래 교통 수요를 충실히 고려했다.
김희성 경기도 도시정책과장은 “화성 국제테마파크, 공공주택지구, 송산그린시티 등 주요 사업과 맞물려 화성이 지속가능한 글로벌 도시로 성장할 기반이 마련됐다”며 “시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2040 도시기본계획은 12월 중 화성시 누리집에 공개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