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연구원 원자력연구실 박광규 책임연구원이 현재 진행 중인 ‘대체수자원, 고효율 저에너지 담수화 시스템 개발’은 기존의 여타 담수화 기술에 비해 에너지 소비량이 20%나 절감될 수 있는 신개념 담수화 기술에 대한 연구다.

고효율 저에너지 담수화 시스템 개발
[#사진2]
연구책임자
박광규(한국전력연구원 원자력연구실, 책임연구원)
e-mail: kkpark@kepri.re.kr

연구현황

-2단계 연구기간: 2004. 7. 1~2007. 3. 31
-2단계 연구비: 30.2억원(정부 14억원·민간 16.2억원)
-참여연구원: 46명(책임급 11, 선임급 18, 원급 12, 기타 5), (산업 38, 대학 8)

참여연구기관

* 협 동
(주)코오롱 중앙연구소, 신용철 박사
* 위 탁
(주)네스캡, 김영호 박사
경희대학교, 이용택 교수

연구목표

- 담수화용 역삼투막/전기흡착식 하이브리드 담수화시스템 최적화(탈염률: 95% 이상, 전기소모량: 5 kWh/㎥ 이하)

- 고효율 저에너지 RO 담수화 시스템 적용을 위한 고기능성 RO 막·모듈 및 시스템 개발
(염배제율: 99.6% 이상(NaCl 32000ppm, 수온 25도), 내압성: 1300psig 이상)

연구내용

- 역삼투막/모듈 연속제조공정 개발
- 역삼투모듈(생산속도 2m/분, 직경 4인치, 길이 40인치) 생산기술 확보(염배제율: 99.6%, 내압성: 1300psig 이상)
- 역삼투 담수화 파일럿시스템 제작(300㎥/일)
- 해수담수화용 전기흡착식 시스템 개발(평판형탄소전극 셀 제조)
- 해수담수화용 역삼투막/전기흡착식 복합 탈염시스템 개발(탈염률: 95% 이상, 전기소모량: 5 kWh/㎥ 이하)

연구추진체계
[#사진1]
[#사진3]
[#사진4]
[#사진5]

효과&활용

- 신개념 담수화 기술의 에너지 소비량이 타 기술 대비 20% 이상 저감되어 경제성이 향상됨으로써 담수화기술의 국내외 비교우위 확보.

- 저에너지형 해수담수화 관련 기술의 해안지역에 위치한 산업체 현장 활용이 가능함으로써 직간접의 수자원 추가 확보.

- 해수담수화용 역삼투막 및 모듈 제조기술을 확보하여 해수로부터 각종 용수를 생산하는 데 활용하고, 전기흡착식 탈염기술과 연계한 하이브리드 담수시스템의 산업체 현장에서의 경제적 활용이 기대됨.

<박순주 기자>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