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면도, 샤워, 치실 등‧‧‧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욕실 사용설명서’

최근 미디어에서 자주 언급되는 ‘탄소중립’. 하지만 정작 시민들은 일상 속에서 탄소중립을 어떻게 실천해야 하는지 몰라 답답한 실정이다. 이에 실생활에서 지구와 나를 지키는 친환경 실천 방법을 소개하는 ‘톡 쏘는 친환경 꿀팁’ 연재를 마련했다.

면봉이나 물티슈 사용 감소 등의 소소한 변화들을 꾀하는 것만으로도 친환경 욕실 조성을 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면봉이나 물티슈 사용 감소 등의 소소한 변화들을 꾀하는 것만으로도 친환경 욕실 조성을 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환경일보] 김인성 기자 = 과잉 소비 문제에 관한 한 욕실은 간과되는 경향이 있지만, 당신이 몇 가지 소소한 변화들을 꾀하는 것만으로도 절약, 재사용, 재활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치실이나 화장솜 같은 작은 물건들은 대수롭지 않게 여겨지기 쉽다. 하지만 모두가 이렇게 생각한다면 우리는 유한한 자원들로 만들어진 많은 양의 물건들을 아무렇지 않게 버리게 될 것이다. 일부 흔한 욕실 용품들은 지구에 엄청난 해를 미친다.

우선 친환경 욕실을 조성하기 위해선 물티슈 사용을 피해야 한다. 화장 지우기에서부터 아이들 닦아주기까지, 모든 데에 다 사용되는 일상생활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은 물티슈는 일회용 플라스틱 문제의 주범이다. 폴리에스터와 폴리프로필렌을 비롯한 다양한 재료들로 만들어져 생분해가 되지 않으며 분해 시 미세 플라스틱이 된다.

영국에서 매년 18억개가 사용되는 면봉은 바다의 골칫거리가 되고 있어, 많은 나라에서 사용을 금지시키고 있다.
영국에서 매년 18억개가 사용되는 면봉은 바다의 골칫거리가 되고 있어, 많은 나라에서 사용을 금지시키고 있다.

다른 문제는 면봉이 있다. 면봉은 너무 작아서 별로 해롭지 않을 것 같지만, 전 세계적으로 엄청난 양이 소비된다. 영국에서는 매년 18억개의 면봉이 사용된다. 사용된 면봉들이 변기에 버려지는 일이 잦아서 바다의 골칫거리가 됐으며, 결국 많은 나라들이 사용을 금지시키기에 이르렀다.

치실은 보통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합성 왁스와 테플론 같은 물질로 코팅되기 때문에 환경에 오랫동안 남아 인간과 동물에게 해를 끼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욕실 장에 있는 일회용품들 중 재사용 가능한 대체품으로 교체할 수 있는 것이 얼마나 되는지 살펴봐야 한다. 또 물티슈를 버리고 재사용 가능한, 빨아 쓰는 면보다 패드로 바꾸는 것이 좋다.

면봉은 판지로 만든 것으로 바꾸고 사용 후에는 변기가 아닌 쓰레기통에 버려야 한다. 치실은 유리병에 든 생분해되는 실, 옥수수 전분 또는 대나무로 만든 손잡이가 달린 것, 아니면 물 분사식 물 치실로 바꾸는 것을 추천한다. 치간 칫솔은 플라스틱보다는 대나무로 된 것을 선택하는 게 좋다.

목욕과 샤워 중 어느 쪽이 친환경적일지는 어떠한 사용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목욕과 샤워 중 어느 쪽이 친환경적일지는 어떠한 사용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물 절약하는 욕실 사용법   

목욕과 샤워 중 어느 쪽이 더 친환경적일까?

단순한 질문처럼 들리지만, 샤워가 효율적인 정도는 샤워기를 사용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일상적인 샤워의 속도를 조금만 높이면 많은 양의 물을 절약할 수 있다.

샤워보다는 목욕을 할 때 더 많은 물을 쓸 것 같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 일반적인 욕조에는 136리터의 물이 들어가고, 반면에 일반적인 샤워기는 분당 19리터의 물을 뿜어낸다. 이는 곧 7분이 넘게 샤워를 하면 최소한 욕조에 가득 찰 정도의 물을 쓰게 된다는 의미다.

영국의 어느 환경 자선 단체에 따르면, 우리의 평균 샤워 시간은 9분이며 7%의 사람들은 샤워 시작 전 일반 일을 하는 3분 동안에 끊임없이 물을 틀어놓는다고 한다. 샤워는 그 시간이 너무 길지 않아야만 가장 친환경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다. 평소 습관을 간단히 변화시키기만 해도 쉽게 물 사용을 줄일 수 있다.

샤워를 한다면 타이머를 이용해 시간을 제한하는 것이 좋다. 또 절수 샤워 헤드를 설치하면 물 사용량을 7분당 27리터까지 줄여준다. 목욕을 한다면 물을 너무 많이 받지 않고, 목욕이 끝난 후에 그 물을 식물에 주는 용도로 재사용할 수 있다. 수량계를 설치해 실제로 얼마나 많은 양의 물을 쓰는지 확인하고, 절약 목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면 돈도 아낄 수 있다.

6~9회 정도 사용 후 버려지는 일회용 면도기의 두꺼운 플라스틱은 대부분 재활용되지 않고 매립된다.
6~9회 정도 사용 후 버려지는 일회용 면도기의 두꺼운 플라스틱은 대부분 재활용되지 않고 매립된다.

 

   친환경적인 면도 방법   

매년 수없이 많은 일회용 면도기들이 매립지로 가게 된다. 일반적인 일회용 면도기는 단 6~9회 사용 후 버려진다. 철제 칼날은 재활용이 가능한 반면에 대부분은 그렇지 못하며, 플라스틱 손잡이는 쌓여만 간다. 이 플라스틱 문제에 더해 많은 면도기가 두꺼운 플라스틱으로 포장돼 판매된다.

빨리 자라는 대나무나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만든 손잡이를 사용한 면도기들은 플라스틱 폐기물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그보다 더 나은 방법은 평생 쓸 만한 오래가는 제품에 투자하는 것이다.

가장 친환경적인 선택지는 교체식 양날이 달린 구식 철제 안전면도기이다. 안전면도기 주문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업체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는데, 보통 전통적인 플라스틱 프리 면도 비누와 함께 판지로 포장돼 온다.

면도를 보다 친환경적으로 만드는 또 다른 방법은 셰이빙 폼 사용을 중단하는 것이다. 스프레이 캔은 물과 해양 생물에 영향을 미치는 해로운 화학 물질이 함유돼 있는 것에 더해, 재활용이 되지 않고 분해되기까지 500년이 걸린다. 플라스틱 없이 포장된 로션, 크림, 또는 비누로 바꾸되, 팜유나 기타 해로운 대체 성분이 함유되지는 않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아무리 리필해서 쓸 수 있다고 해도 액상 비누와 샴푸는 환경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아무리 리필해서 쓸 수 있다고 해도 액상 비누와 샴푸는 환경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고체 샴푸 vs 리필 가능 샴푸   

액상 비누, 스크럽, 헤어 제품들은 막대한 양의 플라스틱을 매립지로 보내는 원인이 된다. 미국에서만 해마다 5억개가 넘는 샴푸가 생산된다. 영국에서는 전체 인구의 50%만이 욕실에서 나오는 플라스틱을 재활용한다고 하며, 미국의 경우에는 약 20%에 불과하다. 

액상 손 세정제가 담긴 펌프식 플라스틱 병들은 보통 재활용될 수 없는 일회용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아무리 리필해서 쓸 수 있다고 해도 액상 비누와 샴푸는 지구에 별로 좋지 않다. 액상 비누는 고체 비누에 비해 생산 시 에너지가 5배, 포장이 20배 더 소모되며, 운송 시 온실가스 배출량이 15배 높다. 액상 손 세정제의 탄소 발자국은 비누 바에 비해 25% 더 크다. 특히 고체 비누가 액상 비누에 비해 7배 더 오래간다는 점이 큰 장점이다. 

만약 이러한 장점들로 고체 비누를 사용하겠다면 소량 생산된 것이나 수제 바를 찾아보는 것을 추천한다. 그리고 천연 재료만 들어간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수지나 기타 동물성 지방 대신 채소 글리세린, 올리브유, 또는 시어 버터로 만든 채식주의자들을 위한 제품들도 많다. 샤워 젤과 보디 스크럽, 샴푸와 컨디셔너 역시 고체형이 더 친환경적이다.

※ 참고 도서 : 그러니까, 친환경이 뭔가요?(조지나 윌슨 파월 저, 문예출판사)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