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일보‧한국환경기술사회 공동주최
‘기후위기 시대, 대한민국 환경의 미래를 생각한다’ 세미나 열려
헌법상 ‘환경권’ 실현과 청년‧기술 기반 전환 정책 공론화

1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기후위기 시대, 대한민국 환경의 미래를 생각한다’ 세미나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박정미 기자
1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기후위기 시대, 대한민국 환경의 미래를 생각한다’ 세미나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박정미 기자

[한국프레스센터=환경일보] 김인성 기자 = 1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에서 환경일보와 (사)한국환경기술사회 공동 주최‧주관으로 ‘기후위기 시대, 대한민국 환경의 미래를 생각한다’ 세미나가 열렸다. 본 세미나는 대한민국 환경권 보장과 지속가능한 환경정책 전환을 위한 사회적 공론의 장으로 마련됐다.

이날 세미나에는 각계 전문가와 활동가, 청년 세대, 시민 등이 참여해 기후위기 대응의 실질적 해법과 ‘국민 환경권 선언문’을 발표하며, 헌법상 환경권 실현을 촉구했다.

“환경을 최우선 가치로 삼고 있나”

개회사를 하는 이미화 환경일보 발행인 /사진=박정미 기자
개회사를 하는 이미화 환경일보 발행인 /사진=박정미 기자

이미화 환경일보 발행인은 개회사를 통해 “지구 곳곳의 폭염, 홍수, 가뭄은 기후위기가 실존적 현실임을 보여준다”며 “환경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생존 조건이며, 모든 국민의 기본권”이라 강조했다.

그는 헌법 속 잠들어 있는 환경권을 실질적인 권리로 구현하는 것이 오늘 세미나의 핵심이라고 밝히며, “맑은 공기, 깨끗한 물, 건강한 생태계에서 살아갈 권리를 다음 세대에 물려주기 위한 시민 선언”임을 강조했다.

특히 청년 세대의 적극적 참여를 강조하며, “이들은 더 이상 미래의 피해자가 아닌 현재의 동행자이며 변화의 주체”라 말했다. 오늘 발표될 ‘국민 환경권 선언문’은 정부, 기업, 그리고 시민 각자에게 질문을 던지는 시대적 메시지로, “환경을 최우선 가치로 삼고 있는가”라는 물음을 제기했다.

“환경은 국가 전략의 중심축 돼야”

환영사를 하는 홍순명 (사)한국환경기술사회 회장 /사진=박정미 기자
환영사를 하는 홍순명 (사)한국환경기술사회 회장 /사진=박정미 기자

홍순명 (사)한국환경기술사회 회장은 “이번 세미나는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기후·환경 위기에 대한 국가적 대응 방향을 설정하는 역사적 공론의 장”이라 평가했다.

그는 기후위기가 생존과 국가안보의 위기로 확산되고 있다며, 헌법상 환경권을 정책과 제도로 실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과학기술 기반의 실천적 해법과 청년 세대의 목소리를 함께 반영해야 하며, 현장 기반의 환경기술사들이 정책 설계 초기부터 참여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기반 마련을 촉구했다.

홍 회장은 “기후위기 대응은 선택이 아닌 국가 생존 전략이며, 단지 공약의 한 줄이 돼서는 안 된다”며, 다음 정부의 환경정책 전반에 반영돼야 할 핵심 어젠다임을 강조했다.

“환경권은 인간답게 살 권리”

축사를 하는 위성곤 의원 /사진=박정미 기자
축사를 하는 위성곤 의원 /사진=박정미 기자

축사를 맡은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은 “기후위기는 더 이상 미래의 문제가 아니라 지금 당장의 위협”이라며, 경북 산불 사례를 언급해 2조원 이상의 피해와 수십 명의 인명 피해를 지적했다.

그는 헌법상 환경권은 단순한 환경 보호가 아닌 인간답게 살아갈 수 있는 권리라고 강조하며, “말보다 행동이 필요한 때”라 밝혔다. 또한 “이재명 후보에게도 시민들의 요구를 전달해 친환경 투자와 전문가들이 활력 있게 활동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국민 환경권 선언문’ 채택
100만 환경인의 목소리로 환경권을 외치다

이날 세미나의 하이라이트는 공병수, 한은영 한국환경기술사회 위원이 대표로 낭독한 ‘국민 환경권 선언문’이었다. 선언문은 100만 환경인의 뜻을 담아, 환경권의 헌법적 보장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사회 전환을 촉구했다.

선언문의 내용을 살펴보면 ▷맑은 공기, 깨끗한 물, 건강한 생태계 속에서 살아갈 권리 보장 ▷미래 세대에 지속가능한 환경을 물려줄 책임 ▷정부와 기업의 환경보호 최우선 정책 요구 ▷정의롭고 투명한 환경정책을 위한 국민 참여 촉구 ▷사회적 약자, 청년, 지역사회 목소리 반영 요구 ▷환경기술 혁신과 공공투자 확대 요구 ▷환경권의 헌법상 기본권으로서 실질적 보장 촉구 등 7개 항이 포함됐다.

참가자들은 선언문을 통해 “환경은 권리이며, 그 권리는 모두의 것이자 미래를 위한 책임”임을 공동으로 선언했다. /사진=박정미 기자
참가자들은 선언문을 통해 “환경은 권리이며, 그 권리는 모두의 것이자 미래를 위한 책임”임을 공동으로 선언했다. /사진=박정미 기자

새로운 환경정책의 나침반
기술‧세대‧권리 중심의 전환 필요

이번 세미나는 단순한 담론을 넘어 헌법 개정, 정책 반영, 기술 혁신 등 실질적 해법 모색의 장으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청년 세대와 환경기술 전문가들이 공존하는 자리를 통해, 현장성과 미래 지향성을 동시에 담보한 점에서 의미가 크다.

환경일보와 한국환경기술사회는 “오늘 발표된 선언문과 전문가 제안이 다음 정부의 환경정책 기준점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